이 글은 현대윤리학의 주요 논제 가운데 하나인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에 비추어 한국사회의 윤리적 정황을 분석하고 유교윤리와의 연관성을 검토하는 것을 주제로 삼았다. 특히 신자유주의와 관련된 한국사회내의 쟁점들을 분석하고 기독교사회윤리학적 방향제시에 그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신자유주의의 모태인 자유주의의 기본전제들을 비판하는 동시에 공동체주의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논의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각각의 반론들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한국사회에서 유교윤리와 어떤 연관을 지니고 있는지의 문제를 특히 공동체주의와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족이기주의나 집단이기주의를 넘어서는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정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meaning of communitarianism in Korean context in relation to Confucianism. For this purpose, liberal-communitairan debate was explained in the context of Korean Confucianism. And the idea of Christian community was compared with Korean concept of community spirit. The Christian community opens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ty in which equality and justice are respected. In this meaning, neo-liberalism in Korea must be under criticism. Meanwhile, Korean collective egoism must be overcome. The meaning and idea of sound community is derived from biblical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