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152.183
3.12.152.183
close menu
}
KCI 등재
기독교 신앙의 사회윤리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슈베이커의 신학적 휴머니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o-Ethical Identity of the Christian Faith: Focused on Schweiker`s Theological Humanism
김호연 ( Ho Yeon Kim )
UCI I410-ECN-0102-2016-230-000780464

우리는 소통의 문제가 심각하게 두되고 교회의 사회 향력이 쇠퇴하고 있는 실에 직면하고 있다. 후기근시는 다양성이 강조되며 따라서 력과 사회통합이 오히려 실한 시이다. 교회는 세상과 동떨어진 구원공동체가 아 니라 세상에 설치된 하나님의 구원의 기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세상과 소통하 며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하는 것은 교회의 당연한 사명이다. 그다면 이 시에 교회는 세상과 어떻게 소통하고 력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할 것인가? 본고 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먼 화의 일방으로서의 교회와 기독교 신앙이 그 윤리(정치) 근거와 화와 력을 한 태도를 재정립할 것을 주장한다. 이것은 화와 력을 한 선결과제들이다. 이 과제를 하여 본고는 리엄 슈베이커의 신학 휴머니즘(Theological Humanism)을 탐구한다. 슈베이커는 그의 신학 휴머니즘론을 통하여 다원화 된 사회에 있어서의 기독교 윤리의 지향과 신학함의 태도를 논구하다. 그는 삶의 통성과 책임이라는 가치명제와 행명제의 통합을 통하여 신학의 윤리 노력은 종교 간은 물론 종교와 비종교 역을 아우르는 사회통합 노 력으로 연결되어야 함을 지한다. 시간 차원에서 그것은 종말론 태도를 요 구한다. 왜냐하면 신학으로 그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향한 끊임없는 지향의 과 정이기 때문이다. 슈베이커는 이러한 그의 신학 노력의 근거를 월자 로서의 하나님에서 찾는다. 하나님은 신론(Hypertheism)이나 과인간화 (Overhumanization)을 모두 뛰어 넘는다. 그것은 종교 극단주의와 인간의 자 율성을 극단화하는 양 극단의 문제를 모두 월한다. 따라서 하나님은 오늘날 바로 타당한 사회윤리의 실체 근거이다.

We have faced the reality, in which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seriously comes to the fore and the influence of the church has continually diminished. Postmodern society emphasizes plurality, but by the very reason, the community requires social cooperations and integrities evermore. The Christian church is not a salvific community departed from the world, but the divine organization for universal salvation within the world. Therefore, it is the natural mission for the church to aim at the kingdom of God within the worl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en, how could the church fulfill the mission with and in the world?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essay argues that we, as a part of communication for the good society, have first of all to reestablish the Christian ethical (or political) foundation and the appropriate attitude for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se are the prerequisite conditions for the mission. For the purpose of the above task, this essay examines William Schweiker`s theological humanism. Schweiker has pursued the Christian ethical goals and the appropriate attitude of theologizing in the contemporary plural world through his theological humanism. He accurately points out the requirement that the theological and ethical efforts of the church should admit not simply the inter-religious but also the extra-religious efforts covering up the non-religious sectors by the consolidation of the integrity of life for ethical value and responsibility for the practice. They call for the eschatological attitude in the temporal dimension because theologically the efforts of the church are the continual process toward the kingdom of God that should not be interrupted until the end of this world. Schweiker seeks for the foundation of his theological efforts within Christian God as absolutely transcendent being. God overcomes both hypertheism and overhumanization. God overcomes the problems coming out of both extremes of religious fundamentalism and the marginalized norm of human autonomy. God is, therefore, the substantive foundation for the contemporary social ethics apt for the integrity of life and responsibility which leads to good soc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