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란 한 사회 내에서 중간을 이루는 계층이 사라지고 상위층과 하위층으로 분리되고 분열되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양극화에 대한 논의는 지난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에 확산되어왔다. 정부는 양극화의 극복을 위해서 사회적 통합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양극화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사회적 통합을 위한 기독교 윤리적가치판단 기준을 제시하려고 한다. 그 기준은 기독교적 경험과 일반인의 경험의지평에서 이해될 수 있는 "연대성"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의 경제적 양극화, 특히 노동시장의 양극화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통합의 기준으로 제시될 "연대성"의 개념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역사적, 사회학적, 철학적그리고 신학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기독교에서 연대성의 개념이 어떻게 통용되는지를 독일 신학의 입장에서 특히 독일 개신교의 백서를 통해서 정리할 것이다. 예수의 가르침인 이웃사랑의 실천을 위해서 기독교인들은 약간의 비용은 들어가지만 보다 더 많은 연대를 위해서 기꺼이 자신의 것을 조금 더 낼 수 있는믿음이 필요하다. 교회는 경제적 양극화 문제의 극복을 통해 만인의 복지로 향해야 하는 작은 기구 중의 하나다. 경제적 양극화 문제의 극복과 만인의 복지는연대성의 개념 속에서 그 방향성을 잡을 수 있다.
Polarization refers to the phenomenon which appears to disappear the middle class and to divide into upper and lower classes. Discussions about the polarization have been in progress in Korea since the late 1990s. The polarization of wealth has become more serious ow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neoliberal policies which primarily reduce the role of the state and actively expand the free market mechanisms.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llenges, the Korean government suggests an alternative of social integr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criteria on ethical value judgement of Christian religion for the social integration which aims to tackle the social polarization. The criteria is "solidarity" which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experiences of Christians and the general public.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polarization of the labor market. The uses of the concept of "solidarity" are examined in terms of historical, sociological,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contexts. The use of the concept is examined, in particular, through the guidance books of churches in German. To love our neighbors as Jesus taught and actively bind together, our christians need the faith in our life to be willing to donate our wealths to others, although it costs. Church is one of the small organizations to tackle the issue of economic polarization and to move forward to expand the welfare of the general public. The concept of solidarity is a key to do 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