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신학의 대화나 통섭, 더 나아가 둘의 통합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는 오늘의 학계에서 과학과 결부되어 나타나는 과학주의는 별로 주의 깊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과학주의는 과학의 논리로 세상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만용으로 나타나거나, 과학의 논리로 세상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맹목으로 나타난다. 그렇게 되면 과학은 제 주제를 모르고 만물을 아우르는 통합학문을 자처하거나 과학이 머물러 있어야 할 영토를 넘어서서 의미의 세계와 초월의 세계를 침략하고 그 세계들을 식민지로 삼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학주의의 문제를 신학적, 윤리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짚고 넘어가기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신학의 언어와 과학의 언어를 서로 구별하고, 그 다음 학문이론적 관점에서 과학주의를 비판하고, 마지막으로 신학적 성찰에 근거한 해방의 논리에 따라 기술의 과학화와 과학의 기술화가 구현된 오늘의 세계에서 과학과 기술을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를 다룬다.
In the academic society, in which dialogues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and, further, a certain form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the two are hot issues, problems of the scientism don`t be treated carefully. On the one hand the scientism shows the temerity to explain everything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scientific logics, on the other it reveals its blindness in the effort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world scientifically. If the science is tied to such a scientism, it sets up itself as an integral science, goes beyond the territory adequately given to it, invades and at last colonizes the world of meaning and the transcendental.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of the scientism from theological and ethical viewpoints, I distinguish the language of theology from that of the science in the first step. Second, I criticize the scientism from scientific-philosophical perspectives. Third and at last, based on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liberation praxis of God in the world, I suggest how to regulate science and technique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a scientification of techniques and a technicalization of sciences are highly re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