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Accredited
공공신학적 주제로서의 소명과 코이노니아 관점에서 본 고령화사회
An Aging Society in the Perspective of Vocation and Koinonia as Public Theological Themes
이상훈 ( Sang Hoon Lee )
기독교사회윤리 vol. 28 193-230(38pages)
UCI I410-ECN-0102-2016-230-000780242

21세기를 들어서면서 수명연장에 따른 장수혁명은 우리에게 닥칠 수많은 변화의 근원이 되기에 그것이 갖는 함의에 우리의 주의가 환기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세인을 가리키는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는 이제 우리 사회에서 익숙한 개념으로 자리를 잡았다. 흔히 압축적 고령화(compressed aging)로 불리는 한국은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최고령 국가가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으며 ``최빈사망연령``이 90대가 되는 시점을 100세 시대라고 할 때 2020∼2025년에 100세 시대가 도래 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런데 100세 시대와 고령화사회는 단순한 수명연장이 의미하는 것을 훨씬 넘어서고 매우 광범위한 상황의 전개와 이에 대한 다각적인 조치가 요구되는 근본적인 변화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 전례 없는 인구학적 변화는 전 세대에 걸쳐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생애주기 이해를 일으킬 것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제도나 시스템 구비는 아직 미진한 단계이고 의식과 문화는 이전의 패러다임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아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요구와 대조를 보인다. ``100세 시대 국민의식 조사`` 결과는 무엇보다도 뚜렷한 사회적 역할은 없이 늘어나기만 한 긴 여생과 그에 반해 경제적으로 준비가 불충분한 노후 등의 문제가 100세 시대에 대한 불안감과 부정적인 시각의 주요 원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경제생활을 포함한 적절한 활동의 계기를 마련하고 동기를 부여하며 공동체 및 관계 중심의 삶을 증진하는 이론과 실천근거의 제공 속에서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단초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필자는 적절한 사회적 활동이나 일과 관련하여 소명 개념과 행복의 사회적 요소로서의 공동체 윤리를 위한 코이노니아에 대한 공공신학적 해석을 시도함으로 위의 고령화사회의 이중 과제에 대한 대처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피고자 한다.

The longevity revolution stemmed from extended life expectancy at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as a root of various individual and social changes facing Korean society is deserved to get our attention. The word ``Homo hundred`` is already widely recognized in almost every sphere of our lives. Korean society often labelled as an example of compressed aging is now experiencing the most rapid population aging in the world and this phenomenal demographic change is expected sooner or later to make South Korea the most aged society in the world. In the years 2020∼2025, Korea will enter the era of ``Homo hundred`` when the modal age at death, i.e., the age where most of the deaths are occurring, reaches 90 years. The era of Homo hundred and an aging society should not be regarded simply as increase in life expectancy but as a fundamental change that has a highly comprehensive influence and accordingly requires a variety of measures to cope with it. Therefore this unprecedented demographic change will give rise to a new understanding of life cycle which will affect all members of society across all age groups. However, our social institutions and systems are not prepared yet for the paradigm shift to meet the demands from the fundamental change, and previous consciousness structure and value system of the old paradigm still lingers in our society. This systemically, institutionally, socially, culturally, and legally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the era of Homo hundred makes a sharp contrast with an urgent need for comprehensive and wide-ranging change. A survey on people`s perception about the era of Homo hundred shows that extended life expectancy without appropriate roles and financial unpreparedness for the retirement are the reasons to be negative about the era of Homo hundred. Such being the case,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viable foundation for both theories and practices by equipping people actively to engage in economic and volunteer activities, and by motivating them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nd relationship-oriented life. This study thus seek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to deal with twofold tasks of an aging society by making a public theological reinterpretation of vocation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cial activities and paid and unpaid work, and koinonia with regard to ethics of community and relationship as social aspects of happi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