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다문화사회와 교회의 역할 모색 -인권과 문화통합을 위한 토대제공의 관점에서-
Multicultural Society and Roles of Korean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Preparation for Human Rights and Social Cultural Integration
임성빈 ( Sung Bihn Yim )
기독교사회윤리 vol. 27 305-333(29pages)
UCI I410-ECN-0102-2016-230-000780151

우리는 가속화되는 세계화를 관찰하면서 특정국가의 특수한 지역문화가 상대화되고 다문화주의적 상황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과거의 단일민족, 단일국가, 단일사회라는 틀에 갇혀 있던 것들이 풀려나자 오히려 이전보다 더욱 독특한 문화가 발흥하고 있다.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자 민족과 지역색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문화가 꽃피고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이 꼭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사회-경제적 분열이 커질수록 평등의 이상과 실제 생활에서 발생하는 불평등 사이의 간극도 벌어지고 있고, 개인이나 전통 사회는 정체성이 유지되는 자신들의 문화에서 피난처를 찾으려 하고, 거기서 자신들의 지위를 인정받으려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다문화사회의 부상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연구와 함께 민족주의와의 건전한 만남에 대한 연구를 요청한다. 본 소고가 특별히 관심하는 것은 다문화사회에서 주목하여야 할 사회구성원들의 기본권, 그중에서도 인권에 대한 관심과 그 영역 확장에 명료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교회의 역할이다. 인권의 보편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사회가 경험하는 인권에 대한 사회적 갈등은 우리가 결코 단순한 ‘우리’가 아님을 자각케 한다. ‘우리’라는 울타리 안에서 자신의 견해와 이익을 정당화하고 절대화하려는 시도가 이제는 불가능한 시대임을 우리는 직시하여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우리사회 안에 갈등이 있다고 하는 것은 역설적으로는 그만큼 우리 사회가 건강하다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 반면에 그러한 사회갈등이 집단이기주의에 힘입어 사회의 도덕적 합의를 붕괴시키게 된다면 도덕적 무질서(anomie)로 상징되는 사회해체의 위기를 맞을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위기의 시점에서 교회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도 먼저 교회는 다문화적 상황에서는 각 개인과 사회집단들이 나름대로의 개별성을 추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는 각 개인과 집단들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또한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고유한 부름을 받은 존재들임을 자각케 함으로써 “우상적이지 않은 자기 존중(non-idolatrous self-esteem)”을 가질 수 있는 근본적 토대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자기존중은 건전한 인권관의 토대로서, 물질적 소유의 상대적 박탈감으로부터 파생하는 파괴적인 사회적 갈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교회는 세계화의 과정 속에서 늘어만 가는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제사장적 돌봄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나아가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구조적 죄악들에 대한 예언자적 선포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은혜’를 체험한 이들이 ‘하나님 나라’를 마음에 품고, ‘생태학적 공동선’을 지향하며 ‘사랑과 정의’로써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이들의 존엄성’, 즉 인권을 존중하는 것이 곧 다문화사회를 통합적 사회로 이끄는, 신앙적 인권관과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ld is getting smaller and integrated in diverse dimensions, due to the acceleration of globalization. But, on the other hand, a life of a person and community are being scattered. Due to the labor market change, family members are being scattered to find a work all over the world. Local communities are controlled by the market values. People are at a point of losing their traditional culture by the profit oriented foreign cultures. In a situation like this, the church has to do not only comfort the dis-connected and isolated communities but also try to provide the concrete ways to guarantee their rights as human beings and promote the socially inclusive culture. Christian social ethics should always concern the least ones first. Under these circumstances, Churches should promote the global culture which protects all human rights and security, especially for the migrant people. The time like this is an opportunity for the church to fully function as a critical majority to bring a constructive social integration. Korean church should enhance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migrant workers to facilitate their settlement in Korea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ultural diversity caused by the accelerated globalization. The criticism that the Korean church receives as not having fulfilled her social responsibility is, at the same time, pointing to the fact that the Korean Christian has not truly lived a life of faith. Therefore, we must first re-affirm the basics of what it means to be a Christian. The acknowledgement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life, a new confession of the sovereignty of God, and a continuous self-renewal founded on the confession of deep rooted sins are important pre-requirement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for the Korean church to properly carry out her social responsibility. Such a life of re-evaluation and re-assessment of the basic foundations of faith help the individual Christian to live a more responsible life as a citizen, combining a life of “love God” with a life of “solidarity and journeying together with the weak and poor” which is the core of human rights. Taking into the consideration of the ambivalent impact of multiculturalism and the strong incumbent nationalism in our society, the Church should make efforts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human rights and the integrated social cul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