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촌락공동체의 붕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교회적으로 수많은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 마을만들기 운동은 사회와 교회에 좋은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만들기를 활성화하는데 있어 지역교회의 역할과 책임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경기도 부천의 새롬교회가 하나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마을만들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통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요청되는 것은 지역사회와 교회 관계에 대한 목회철학이다. 앞으로의 목회는 교회목회가 아니라 지역목회여야 하며, 목사는 지역교회의 목사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목사가 되어야 한다. 둘째, 마을전체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 수 있는 공동체신학이 필요하다. 개교회중심주의를 벗어나 마을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 마을만들기에 관심하는 모든 개인이나 단체들과의 연대와 협력을 가능케 하는 에큐메니칼 신학이다. 마을 만들기에 성공하려면 지역교회가 지자체, 시민단체, 타교단 교회들과 협력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어야 하며, 효과적인 네트워킹을 실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 실천 전략으로 일곱 가지가 고려되어야 하는바, 여기에는 살기좋은 마을에 대한 꿈을 그리고, 자원을 찾으며, 일꾼을 세우고, 공동의 일감을 찾으며,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험하며, 성과물을 공평하게 나누는 일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살기좋은 마을이 되고, 지역교회는 고립과 소외로부터 벗어나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have caused many kinds of mental, social and ministerial problems. To face these problems the movement of the making village(community building) is regarded as the good alternative.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local churches should respond to this issues of the movement of the making village on the basis of case study of the Saerom Church in Gyunggi province. For the motivating and developing of the making village by the local churches, it is important to have a solid theological foundation and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this paper, we will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asks of the local churches in four ways. Firstly, the minister of the local church have the ministerial theology as the mistry for the local community not only for the church itself and as the minister for the local residents not only for the church members. Secondly, we should theorize the theology of community including the local community. Thir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networking includi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non-profit organization and churches in the local community. Lastly, we need to developing the strategy such as vision for the village, seeking the resources, building up the workers, seeking the communal work, making close relationships, training the root democracy and distributing the outcome fai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