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다음 세대 청소년을 새롭게 이해하기 -한국교회 공동체 내의 세대 간 갈등의 의미와 윤리적 가능성-
A New Understanding of Youth Members in Korean Churches through Generation Conflicts as Creative Ethical Possibilities
박우영 ( Woo Young Park )
기독교사회윤리 vol. 24 151-183(33pages)
UCI I410-ECN-0102-2016-230-000779898

청소년들은 육체적, 정신적 성숙의 과정을 밟고 있는 과정적 존재일 뿐 아니라, 또한 그 사회의 가치들에 대한 사회화 과정을 거쳐 가고 있는 매우 역동적 존재이다. 한국교회는 청소년들이 도덕적 주체로 성장하도록 돕고 있는가? 한국교회는 청소년들에게 성서적 적합성과 사회적 적합성 사이의 균형, 신앙과 이성의 긴장관계의 영역을 제공해 주기보다 오히려 근본주의적 영성에 기초한 획일적 사고구조를 강요해 오기도 했다. 이로 인한 청소년들과 기성세대 간의 갈등을 새롭게 생산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생긴다. 세대 간 갈등이란 소통과 대화를 통한 인간성의 회복이란 지향점을 향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읽힐 수 있다. 기성세대의 경우, 생존을 위한 경제적 생산과 발전의 기획이라는 틀에서 복음의 가치구조마저 이에 맞게 변형시킨 질서신학적 ‘수목적 체계’의 패러다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반해, 청소년들은 생존욕구보다 감성적 향유의 가치를, 획일성의 가치를 교육구조를 통해 강요받았으나 다양성을 예찬하고, 집단성 보다는 개체성을, 공동체적 가치보다는 개인적 가치에 우선성을 부여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동시에 청소년 세대는 자본주의의 가치에 깊이 영향을 받아 세계화, 상업주의의 문화적 속성을 공유하는 집단적 특성도 강하게 드러낸다. 이 갈등의 구조는, 권력을 통한 타율과 통제, 그리고 폭력성을 거절해 온 기독교 공동체의 평화주의 전통과 유산을 통해서 인간의 개체성과 자율적 실천능력이 새롭게 발휘될 창조적 가능성의 영역으로 읽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래리 라스무센은 도덕적 성품 형성의 장으로서 교회공동체는 집합적 도덕적 정체성과 기억을 형성하는 장이며, 도덕적 숙고와 실천이 이루어지며, 신앙과 이성의 균형속에서 공동의 경험을 나누는 장이 될 수 있다고 역설한다. 청소년 삶의 윤리적 가치구조가 갖는 특성들이 세계화 상업주의, 소비주의에 매몰되지 않도록 웨슬리의 선행은총 이해와 실천적 금욕주의로부터 인간 기본가치의 실천(지속적 성화의 가능성, 약자에 대한 실제적 관심과 연대, 청지기적 삶)에 관한 한 방향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청소년들 스스로 검열과 통제의 대상이 아닌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도덕적 주체로서 스스로 풀어내는 힘, ‘자기 삶 글쓰기’가 가능한 존재로 세워질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관계성을 재설정해 내는 도덕적 책임주체로 설 수 있을 것이다.

Youth members are not only ‘beings in process’ who physically and mentally grow but also dynamic ‘beings in socialization’ who get to obtain values of the society where they live. From this perspective of youth, it is necessary to raise some questions of how Korean churches have helped youth members to learn humane basic values and become active moral agents. These questions are related closely to the current task of Christian ethics in Korean churches. It is true that Korean churches have often pushed youth members to accept the spirit of fundamentalism and to have a uniformally fixed paradigm rather than have provided them with the realm of the tension between faith and reason. From this context, there has been a conflict between youth members and the older generation in Korean churches. I believe that resolving the conflict is not simply removing this conflict but transforming it into a radical motivation toward practicing the integrity of humanit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generation conflicts as new productive motives and ethical motivation toward putting basic humane values into practice. According to Larry Rasmussen, churches, communities of faith could function as an active field for the moral formation of youth and building collective moral identity. In addition, I suggest that youth members who have experienced the process of moral formation learn a spiritual and practical direction of their lives from John Wesley`s notion of ‘prevenient grace’ and his ‘practical asceticism,’ that is, continual process of sanctification, a practical solidarity with the poor and the weak in society, concrete practices in stewardship, and practical use of money. This asceticism can help youth members not to go astray in the midst of global commercialism and consumerism. Finally, a new understanding of youth can give them a possible opportunity to become active moral agents who can do a ‘self-reference writing’ and to reset new relationships between youth members and the older gener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