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요구에 따라 2000년 이후 국내 대학에서 시행되는 공학윤리 교육의 배경과 실태 및 한계를 살펴봄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위한 기독교적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ABEEK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공과대학이 공학교육인증을 받으려 했고, 이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공학윤리 과목이 급하게 개설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공학윤리 교육이 대학 전체의 일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의 유기적인 연관 없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결과 다른 과목과 내용이 중복되거나 입장이 상충되는 경우도 있어왔다. 이런 현상은 대학 전체로 볼 때 막대한 교육 기회의 상실로 받아들여진다. 특별히 기독교 종합대학의 경우 학교의 교육이념을 구현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학윤리 교육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고, 공학윤리의 필요성 및 정의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 후,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내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안을 소개한 후, 결론적으로 기독교종합대학에서 어떻게 공학윤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것인지에 대한 제안을 하려고 한다. 이 논문의 중요한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존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 (1)미시적 윤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2)대학 내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지 못했다. (3)공학교육인증제도 자체가 갖고 있는 윤리적인 문제점을 간과했다. 기독교 종합대학에서 공학윤리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제안: (1)공학윤리 교육은 기독교 대학 이념 교육과 밀접한 연관 속에서 시행돼야 한다. (2)기독교 종합대학 내의 신학부가 기독교적 교육 이념에 대해 다른 학제와 심도 있는 대화를 평소에 하는 것이 이와 유사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비하는 방안이다. (3)기독교적 윤리학은 인문학 일반이나 윤리학보다 더 효과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도의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EEE) in Korean universities, as a requirement of the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for Korea) which was founded in 1999.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is to identify serious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EEE and to come up with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As the influence of ABEEK increased, more universities in Korea wanted to be considered for its accreditation. As a result, great number of EEE courses were created without enough preparation. Many problems were reveal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EEE. Most of EEE courses were developed in isolation, without any organic connection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ularly in Christian universities, when EEE courses are taught without a tight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goal of the institution, the founding principles of the universities can be neglected or challenged. Because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now necessary to redesign the EEE. In this paper, I survey the history of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 briefly. Then, I examine the theoretical debates about the necessity and definition of Engineering Ethics. The argument for the necessity of EEE, and the goal and content of EEE will be followed. Next, I will describe the problems and the limitations of the EEE. And I will conclude this paper with a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of EEE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The most important argum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imitations of the EEE so far: (1)Focused on the micro-level ethics, (2) No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3)Not aware of the ethical issues in the ABEEK system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