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윤리와 사회적 책무는 정당의 창립이 아니라, 교회의 교회됨과 기독교의 기독교 됨이란 측면에서 찾아야 한다. 이제 기독교는 한국사회에서 언론의 먹이사냥의 대상이 되기보다는 가장 조심스럽게 볼 수 있는 종교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기독교 정당 논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1. 기독교인의 사회적, 정치적 책임과 기독교 정당 지지자들의 정당 창당 및운영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비약이 있다. 모든 권력의 근원은 하나님이라는 신앙고백과 기독교 정당 설립의 당위성 사이에도 심각한 비약이 있다. 2. 현재의 정치가 권력 지향적임을 비판하면서, 기독교 정당은 섬기는 정치, 봉사의 정치를 추구할 뿐 권력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는 매우 모순된 주장이다. 3. 대다수의 기독교인들이 원하지 않는 상황 속에서, 특히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들이 팽배해 있고, 실제적인 교회 성장도 멈춘 한국교회의 상황을 놓고 볼 때 기독교정당의 출현은 지극히 부정적인 일이다. 진정한 기독교인들의 정치력은 기독교가 보다 적극적으로 시민들에게 다가서서 그들의 공동체와 삶에 주는 파급 효과가 가장 큰 종교 집단이 됨을 통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기독교가 본연의 책무에 충실하고 사회에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 기독교 정당 창당 등의 소모적인 논쟁과 논의를 넘어서는 고도의 정치력과 직업소명론의 재해석과 강조에 따른 책임 감당이 필요하다.
Whenever there is general election in Korea, the issue of Christian political party repeatedly causes great debate among Korean people, both Christian and non-Christian. This being the case, it seems worthwhile critically to reflect on the debate of the issue. The problem is politically enthusiastic Korean Christians who want to get involved in secular politics tend to overlook a more important political responsibility of Korean Christians. After all,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the church lies at the center of the issue of ``church and politics`` and the argument for the need for Christian political party in Korea can be criticized for the following reasons: 1) There is an implausible leap from Christian social and political responsibilities to political party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ome politically enthusiastic Christians. Their arguments for the politics of service, servant-hood of political leadership, and non-power oriented or anti-power politics as opposed to power-oriented nature of current Korean politics are contradictory. 2) In view of opposition among most Korean Christians to the Christian political party, anti-Christian sentiments in Korea, and the decline of Korean Christianity, an attempt to organize a Christian political party seems to be highly inappropriate. 3) The concept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has already taken root in Korea and this principle should be respected in multi religious Korean society where major religions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Christianity, etc. coexist peace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