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외 영어시험의 오용사례와 윤리규범 기준을 문헌 탐색을 통해 고찰하고 영어교육평가자의 윤리성 문제를 기독학술담론으로 유도하는것이다. 일차적으로 국내외에서 발생한 시험시행과 준비의 부적절한 사례를 살펴보면서 영어평가자의 직업윤리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평가자가 직업 윤리성을 갖기 위해서는 Davies(1997)가 제시한 윤리 규범, 실행 규범의 문서 작업과 규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적 상황에서 규범과지침만으로는 영어평가자의 윤리성을 높이기 힘들며 기독교사 혹은 기독단체들이 사랑과 공의의 마음으로 윤리캠페인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육자들의협력네트워크로 윤리적인 교육평가의 사례가 축적되어야 할 때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aise ethical awareness of English language testing and to promote issues of professional ethics by christian educators in Korea. Until the last decade, language educators and testing professionals have not been aware of ethical dimensions of test effect. In this paper,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est impact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ethical concerns. Christian educators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meaningfulness of ethics embedded in testing professionalism, and it is stated that professional ethics movement should be highly valued in their workpl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