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6.88.16
18.116.88.16
close menu
}
KCI 등재
기독교 언약(言約)과 유교 향약(鄕約) 비교 가능성에 관한 고찰
이상훈
기독교사회윤리 18권 289-316(28pages)
UCI I410-ECN-0102-2016-230-000779363

본 논문은 기독교 언약개념과 그 유교적 등가물의 가능성을 논함으로써 양자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언약에 대한 개혁 신학적 이해를 밝히기 위해 폴 레만(Paul Lehmann)과 요하네스 알투시우스(Johannes Althusius)의 관점을 소개하였고 유교적 언약 개념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교의 황금률과 향약 (鄕約)을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유교 향약과 기독교 사상인 언약사이에는 본질적인 유사성이 있음이 제기되었다. 유사성에는 공동체 세우기, 자발적인 참여, 상호책임, 도덕성 제고, 보편윤리 추구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유교 황금률과 향약에는 포괄적인 개념의 약화, 기존질서 유지 및 지역 중심적 성향, 엘리트 리더십, 초월적 신관의 부재, 서열과 신분에 의한 황금률의 침해 등에서 한계 역시 지적된다. 사실, 역사적으로 향약은 정치 이데올로기화 및 전반적인 중앙 통제적인 제국적 지배, 지역에의 전제적이고 관료적인 개입, 공동체 참여와 상호부조의 격감, 그리고 메마른 율법주의적 교시(敎示) 등의 형태를 띠며 쇠퇴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면서 유교향약의 원칙과 가치가 특정 종교 문화적, 지역적 틀과 범위를 넘어 전 지구적 윤리를 위한 자료로 설득력 있게 인식되고 수용되기 위해서는 기독교적 언약 개념과의 비교, 대화 및 그것으로 부터의 필요한 도전이 요구된다고 본다. 나아가 본 논문은 앞으로 두 다른 종교철학적 개념들의 이질성과 동질성에 대한 비교 연구가 상호 배움과 풍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길을 열어줄 것을 기대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ristian concept of covenant and examine the plausibility of its Confucian development to compare these two otherwise incommensurable concepts and find thei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Some suggest that this Christian concept is also relevant to non-Christians and their cultures and societies. No clear reason may be proposed for denying the possible presence of its rough counterpart within other religious-cultural backgrounds, Confucian culture and society, in our case. Thus this paper brings in such Reformed thinkers as Paul Lehmann and Johannes Althusius to present the Reformed view of covenant and takes up the Confucian community compact to explore the Confucian version of covenant. It is revealed in this paper that some aspects of the community compact inherently have a similarity with “covenant,” traditionally recognized as a Christian ethical theme. However, the decline of the community compact came with an increase in state intervention and its derivatives. Moreover, since the Confucian community compact is locally initiated, regionally focused, and culturally specific, it is not certain whether its principle and value are globally valid and acceptable beyond a single locality or across cultural and communal boundaries. In contrast, since the Christian notion of covenant promotes diversity and reciprocal responsibility within the framework of a larger federal relationship, it can help to globalize the principles and values of the Confucian community compact, which can then remain viable beyond locality or even across cultural and communal boundaries. The implication is that key elements of the Confucian community compact, stripped of its imperial and patriarchal distortions, can contribute to enriching the moral and ethical life of Korean-Confucian society in the global era. In this connection, arguably common grace that implants a law of nature for all humanity suggests that cultural heritages other than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carry within themselves some principles and values essential to such concepts traditionally deemed Judeo-Christian as covenant and vo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