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일부 노인의 저작강도별 음식섭취능력과 잔존치아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Food Intake Ability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Some Elderly People
김다혜 ( Da Hye Kim ) , 황수정 ( Soo Jeong Hwang )
UCI I410-ECN-0102-2016-510-000787611

이번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9월까지 대전 동구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노인 스케일링-불소도포 사업에 참여한 노인 503명을 대상으로 잔존치아수와 강도별 30가지 음식섭취능력,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음식섭취능력에 따른 총 잔존치아수는 모든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1군 21.78±8.27개, 26가지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2군 16.75±7.87개, 16가지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3군 14.68±9.77개, 8가지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4군 9.93±8.13개, 모든 음식을 섭취할 수 없는 5군 10.18±8.37개로 1군, 2∼3군, 4∼5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철포함 대합구치수는 1군 2.80±2.63개, 2군 2.16±2.44개, 3군1.73±2.30개, 4군 0.78±1.68개, 5군은 0.51±1.22개으로 1,2군과 5군의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고정성 보철물을 포함한 대합구치는 음식섭취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OHIP-14는 1군 2.16±3.37, 2군 4.35±6.09, 3군 7.23±7.53, 4군11.20±3.40, 5군 18.15±8.55으로 모든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고 음식섭취능력이 좋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양호하였다. 강도별 음식섭취능력과 잔존치아수가 OHIP-14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단한 음식 섭취능력은 OHIP-14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중강도 음식섭취능력, 무른 음식 섭취능력 총 잔존치아수 순으로 OHIP-14에 영향을 미쳤다. OHIP-14와 음식의 상관관계는 참외(-0.701), 삶은 닭(-0.664), 사과(-0.659), 우엉조림(-0.632), 배추김치(-0.626), 양갱(-0.624), 오이소박이(-0.618), 삼겹살(-0.618), 갈비찜(-0.615), 생선조림(-0.603) 순으로 강한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 삶의 질 유지와 향상을 위해 21개 이상의 자연치아를 유지하고 자연치아가 상실된 경우 육류와 채소, 과일류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고정성 보철물 수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적절한 노인 구강보건사업과 치과 건강보험정책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Eating supports to gain energy and nutrition and improves quality of life. Ageing affects the food intake ability due to loss of natural teeth and the progressive muscle degeneration. Our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how the food intake ability (FIA) and the remaining teeth could influence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503 elderly subjects living in Daejeon, Korea. The questionnaire with the FIA with 30 Korean food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OHIP-14) and oral examination were surveyed. The five group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of FIA had the different numbers of remaining teeth and functional posterior teeth with opposing teeth or prosthesis significantly: group 1, 21.78±8.27 and 2.80±2.63; group 2, 16.75±7.87 and 2.16±2.44; group 3, 14.68±9.77 and 1.73±2.30; group 4, 9.93±8.13 and 0.78±1.68; group 5, 10.18±8.37 and 0.51±1.22. The more foods the subjects could masticate, the bette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y had. The medium FIA, soft FIA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could explain 46% of OHIP-14, but hard FIA could not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e suggested to develop the or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to be able to eat the food with medium physical property at least be helpful to improv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