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가출 청소년들이 가출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가정위기는 무엇인가?’,‘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의 대처방법은 무엇인가? ’등의 연구 질문들로 시작한다. 또한 본 연구는“가출 청소년”이라는 대상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그들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다양한 기독교 상담적 방법을 찾고, 이러한 상담서비스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과 가족과의 다양한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청소년 가출에 대한 사회 체계적 원인에서 발생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며, 본 연구자가 실제로 만나 인터뷰한 다양한 가출경험을 가진 청소년들의 목소리들을 분석한 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사회, 학교, 가정, 교회공동체가 어떤 연결성을 가지고 그들을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제언을 체계론적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begins with research questions such as ‘Why do teenage runaways run away from home?’,‘What family crises do these teenage runaways experience?’, and ‘How can we handle such situations?’. At this, the present study aims at understanding“teenage runaways”more deeply, finding various Christian counseling methods that can effectively help them, and presenting detailed and practical methods for such counseling services. For this, the present study observes various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teenage runaways and their families, renews perceptions of the negative aspects of teenagers which occur from the social and systematic causes of teenage runaways, analyzes the voices of teenagers who have various experiences running away from home and who have been met and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and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presents Christian counseling proposals regarding ‘how society, schools, families, and church communities can help them and with what kind of connectivity’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