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Beyond a Religion of Charity: Criticism on Gianni Vattimo`s View of Christianity in the Age of Religious Revival
곽호철 ( Hochul Kwak )
대학과 선교 vol. 29 199-234(36pages)
UCI I410-ECN-0102-2016-230-000786299

종교가 쇠퇴할 것이라는 예견과는 달리 종교의 건재 혹은 부흥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부흥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분석을 했고, 지아니 바티모도 그 중 한 학자이다. 바티모는 기독교를 자비의 종교로 규정한다. 바티모는 기독교가 진리의 종교에서 자비의 종교로 자기정립을 해 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세속화 시대의 규범을 해방과 객관성 소진으로 보면서, 형이상학적 불변의 진리를 주장하는 종교는 현 시대에 적합하지 않으며, 진리의 종교가 아닌 자비의 종교로서의 기독교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바티모가 규정한 자비의 종교가 현 시대의 기독교를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진리주장이 수용되는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밝혔다. 바티모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 호세 카사노바의 탈사유화이론과 피터 버거의 탈세속화 이론을 비교하며 살펴보았다. 카사노바는 근대에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종교들은 근대 이전으로 돌아가는 종교가 아니라 근대의 내재적 규범에 충실한 종교라고 주장하며, 탈세속화가 아니라, 탈사유화이론을 주장한다. 탈사유화이론은 바티모의 주장과 양립한다. 그와는 다르게 버거는 탈세속화이론을 주장하는데, 근대적 사고와는 양립하기 어려운 근본주의적 종교의 부흥의 이유를 범인들의 세속 엘리트에 대한 저항과 초월적 지평에 대한 확보로 파악한다. 버거의 탈세속화이론에 비춰볼 때, 바티모의 자비의 종교는 근본주의에 대한 몰이해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진리를 추구하는 종교의 본질 자체도 부정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자비의 종교가 기독교의 중요한 부분임에는 틀림없지만, 자비의 종교를 넘어서 진리의 종교 차원을 포괄하는 종교 개념이 종교 중에서도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는 근본주의적인 종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세속화시대에 근본주의 종교가 확대되어가는 이유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진리의 종교를 주장하면서도 폭력적이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준다고 본고는 밝히고 있다.

Contrary to popular belief that religion is in decline, it is evident that there is a revival of some forms of religions. In the age of religious revival, many scholars propose their views to understand such a religious revival. Gianni Vattimo is one of the scholars. He proposes that Christianity becomes a religion of charity, moving away from a religion of truth. In this paper, I contends that his view of Christianity, a religion of charity, should be reconsidered in such a way that a truth claim can be allowed. In order to critically engage with Vatimo’s view, I compared his view with Casanova’s deprivatization theory and Berger’s desecularization theory. Vattimo’s view of Christianity is compatible with Casanova’s deprivatization theory but is incompatible with Berger’s desecularization theory. Although Vattimo proposes a religion of charity to avoid being violent Christianity, his view ends in protecting only religions of a few secularized elites and their followers while ignoring so-called conservative religions. I contend that a view of Christian religion in which truth and charity are compatible without negating each other is helpful to understand religiously conservative people and provides ways in which Christianity can claim nonviolent truth to religiously others.

I. Introduction
II. Religion of Charity
III. Religion of Charity and Deprivatization
IV. Religion of Charity and Desecularization
V. Conclusi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