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Candidate
한국의 CCM운동과 청년하위문화
CCM movement and Evangelical Youth Subculture in Korea (1980-2010)
윤영훈 ( Young Hoon Yoon )
대학과 선교 vol. 22 159-200(42pages)
UCI I410-ECN-0102-2016-230-000785803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은 동시대의 다양한 ‘세속적’대중음악 장르를 통해 기독교의 메시지나 세계관을 내포하는 가사를 표현하는 문화적시도이며 음악장르이다. CCM 운동을 세대간의 문화적 구분을 가져오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일종의 청년‘하위문화’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또한 본인은 CCM을 하나의 ‘운동’으로 해석한다. 미국과 한국 모두에서 CCM은 산업적 차원으로 시작되지도 않았고, 그렇게 수용되지도 않았다. CCM은처음부터 청년세대에 의해 태동되고 상호 연계 속에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의CCM 운동은 지난30년간 기독교복음전파와 예배갱신을 표방하였으며, 더나아가 복음주의 청년들의 대안적 음악문화로 급성장하였다. CCM은음악의 형식과 악기사용문제로 예배안에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동시에 복음적인 예배가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성찰과 예배학적 고민을 본격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CCM은 청년세대가 중심이 된 하나의 ‘부흥운동’이라고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CCM 운동의 방향은 여전히 청년 세대의 문화와 예배 갱신운동으로서, 보다 나은 예술성과 성숙한 기독교세계관을 정립하여, 시대감각과시대 정신에 충실해야 한다.

In the context of Korea,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was born as a evangelical youth subculture, which has been distinguished their own music style and culture from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Also, CCM has been aimed for a renewal of worship and Christian mission. Although the evangelical youngsters made a tension with the adults in the church, mainly for its secular style, CCM culture has been accepted by the most church during the last two decades. It was possible for a effective ministerial purpose rather than a theological acceptance. At the same time, CCM ministers began to concern deeply about what the true worship is in our days. In this sense, CCM was both revival and renewal movement led by younger generation. The future direction of CCM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past footsteps, with emphasizing both aesthetical excellence and matured worldview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