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토요 이토는 건축적 ``관계``들을 구축하기 위해 공간적, 구조적 조작을 통해 일시성과 영속성 사이의 역설적 관념을 취해 왔다. 본 연구는 이토의 ``일시적 건축``과 관련하여 "바람의 건축"의 근원을 일본전통공간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 전통건축공간에 내포된 일시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토의 건축공간에 나타나는 ``일시성``을 일본 전통건축기법 및 공간적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고찰함으로써, 이토라는 스펙트럼을 통해 표출되는 건축공간의 일본적 감성과 논리의 세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전통공간의 일시성을 ``신토(神道)적 일시성``, ``불교적일시성``, 그리고 ``마(間)의 개념과 일시성``의 관점에서 그 본질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세 축의 밀접한 연관성에 근거하여 토요 이토의 공간에 나타나는 일시성의 의미배치를 ``하이테크의 가설적 공간과 일시성``, ``전자적 형상화와 일시성``, ``시공간적 대응과 일시성``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사례는 1980년대로부터의 일본 내 작품 중에서 선정, ``일시성``과 관련된 전통의 맥락에서 그 내면에 깔려있는 일본적 인식을 고찰한다. 셋째, 위의 내용으로부터 일본전통공간의 일시적 특성과 관련하여 토요 이토의 일시적건축디자인의 현대적 의의를 살펴본다. (결과) 이토의 일시적 건축은 ``현대사회에 부응하는 가벼운 구조``, ``경관에 대한 감성``과 ``초월적 시학``, 그리고 ``경계와 시간에 제한되지 않는 유동하는 건축``에 의해 "바람의 건축"으로 통합된다. 실제와 가상의 경계없는 오늘날의 삶의 은유로서 이토의 작업은 ``일시성``의 주제를 구현한다. 이토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메타포로 작동하는 전통의 문법은 ``바로 지금``을 말하고 있으면서도 과거와 미래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기 때문에 강력하다. (결론) 이토는 문화적 정체성의 기초 위에서 현재의 첨단으로 과거를 회복하고 미래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이토 건축에 나타나는 ``일시성``의 주제를 통해, 전통건축문화를 어떻게 살아숨쉬는 오늘로 소환하는가에 관한 일본의 방식 중 하나를 고찰한 것이다. 또한 전통이 어떻게 오늘날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의 하나의 가능성을 살펴본 것에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oyo Ito has embodied the notion between ephemerality and perpetuity in his works to realize his architectural relationships. This study try to find the root in Ito``s ephemeral architecture from Japanese tradition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phemerality that exists in the Ito``s works and analyse modern meaning of those in connection with Japanese cultural program from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and to look at the world of Japanese sensibility and logic through Ito``s architectural spaces. (Metho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mentions transiency of the Japanese traditional spaces in terms of ``Shinto``, ``Buddhism`` and ``Ma``. Secondly, it clarifies implication of ephemerality in Ito``s designs from the point of view of ``temporal space of hi-tech``, ``electronic imagery``, and ``spatio-temporal correspondence``. It selects the cases from Ito``s works constructed in Japan after 1980``s. Thirdly, it ascertains how Ito puts a modern twist and infuses spiritual dimension into his works with the theme of ephemerality related to the Japanese traditional spaces. (Results) Ephemeral architecture of Toyo Ito has been integrated into "Architecture of winds" with light structures comimg up to modern society, sensitivity to landscape and the transcendental poetics, and fluid space that is not limited by the boundary and time. As a metaphor of the modern living in the borderless world between reality and vituality, Ito``s architectural spaces imply ephemerality. The grammar of tradition operating as metaphors in the Ito``s works is powerful because it is revealing awareness to the past and the future as well as expressing ``the right now``. (Conclusions) Ito restores the past and proposes the future with the present technologies based on the cultural identity. In conclusion, it clarif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one of the methods how traditional spaces are recreated to be alive and well today, and those can be an alternative for the sustainable design through the theme of ephemer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