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5.72.75
18.225.72.75
close menu
}
KCI 등재
특집기획 : 치유의 행복학: 동서양 철학의 행복 개념 ; 인간의 조건과 행복 -아렌트와 하버마스를 통한 행복의 구조 이해-
Happiness and the Human Condition -An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Happiness-
김선욱 ( Seon Wook Kim )
철학논집 44권 39-67(29pages)
UCI I410-ECN-0102-2016-100-000784881

이 논문은 행복의 이해와 교육을 위해서는 다중적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행복은 행복감과 연관이 되고, 행복의 감정은 어떤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성취와 연결이 되며, 그것은 다시 그 활동과 연관된 객관적 요소와 연관이 된다. 따라서 행복의 다양성을 이해하려면 우리는 활동에 개입된 여러 측면들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나 아렌트가 인간 활동을 노동/작업/행위로 구분하였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녀의 분석을 시간성을 중심으로 하여 해석하고 영적 삶을 더하여 행복의 여러 측면들을 보여준다. 나아가 이러한 내용적 논의를 공간 개념을 활용하여 정리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하버마스의 내면세계, 객관적 세계, 사회적 세계 구분을 활용하는데, 여기에 다시 종교적 세계를 추가하게 행복에 대한 논의를 확장한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결론에서는 표로 만들어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행복에 대한 이런 이해가 제한적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은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행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의 시각이 단순해서는 안 되며, 다중적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 연구는 명확히 알려준다.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multiple viewpoint for understanding and educating happiness. Happiness is related to the happy feeling, the happy feeling comes from an achievement in an activity, and the achievement is made in connection to a certain objective element of the activity. To get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spects of happiness, thus, we need to comprehend various aspects human activities. Hannah Arendt analyses them into labor, work and action according to their qualities in her The Human Condition, and I will interpret them according to their temporalities. I also add the spiritual activity to Arendt’s three activities so as to get a whole view of happiness. In addition, I try to organize the various aspects of happiness by means of the concept of space. For this I get the help of Jurgen Habermas``s concept of three worlds: the inner world, the objective world, and the social world. I also add to them the concept of the spiritual world for a better view of happiness. In the conclusion, I suggest a table that organizes various aspects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worlds fitting the qualities of the various aspects. It will show that happiness contains qualitatively different aspects and that we need a multiple view point, not a simple one to have a proper understand of happin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