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3.59.77.83
13.59.77.83
close menu
}
KCI 등재
보존적 치료로 호전된 단일 대각지 폐색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근외벽 파열
Successful Healing of the Myocardial Rupture Complicated by the Occlusion of a Single Diagonal Branch
유영지 ( Yeong Ji Yu ) , 최영 ( Young Choi ) , 김교희 ( Gyo Hui Kim ) , 김태훈 ( Tae-hoon Kim )
UCI I410-ECN-0102-2016-510-000784423

심근 파열은 급성 심근경색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며 치사율이 매우 높다. 진단 초기에 즉시 초기 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환자의 활력 징후와 심막혈종의 크기, 심낭천자술이후의 잔여 심막혈종 크기 등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기저질환이 없는 54세 남자 환자가 2주 전부터 발생한 흉통 및 급격히 악화된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했고, 심막혈종으로 인한 심낭압전이 발견되어 심낭천자술을 시행했다. 심초음파 검사에서 심실외벽의 무운동성 및 국소적으로 얇아진 부위가 보였고,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제1 대각지의 완전 폐색 및 심실외벽 파열을 진단했다. 환자의 사정에 의해 이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했으며, 심기능이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퇴원 후외래 추적관찰하였고 20개월 추시에서 후유증은 보이지 않았다. 단일 대각지 폐색의 급성 심근경색과 함께 심근 파열이 합병된 경우로, 수술적 치료 없이 약물 치료로 호전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임상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Myocardial rupture is a rare but lethal complica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Immediate conservative management is critical, but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patient’s hemodynamic state and degree of hemopericardium do not improve after pericardiocentesis. In this case, a 54-year old patient without underlying disease came to the emergency after experiencing chest pain for two weeks with suddenly aggravated severe dyspnea. The patient was found to have a hemopericardium with cardiac tamponade, so pericardiocentesis was immediately executed. Transthoracic echocardiogram revealed akinesia of the left ventricular muscle and focal wall thinning.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omplete occlusion of a single diagonal branch and ventricular free wall rupture using a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scan.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vital signs and cardiac function stabilized, and there was no definitive sequela. This case is clinically significant because myocardial rupture, a lethal complica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non-surgical, conservative treatment. (Korean J Med 2016;90:234-238)

서 론
증 례
고 찰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