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91.14.104
18.191.14.104
close menu
KCI 등재
왜도 예측을 이용한 Lee-Carter모형의 사망률 예측
A modified Lee-Carter model based on the projection of the skewness of the mortality
이항석 ( Hangsuck Lee ) , 백창룡 ( Changryong Baek ) , 김지현 ( Jihyeon Kim )
UCI I410-ECN-0102-2016-310-00079269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지속적인 사망률 개선으로 인한 평균 수명연장은 인구 고령화의 주요인이며 연금 공급자의 재정건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지목되기에 정확한 미래 사망률의 예측은 현 시점에서 선행되어야할 중요한 과제다. 본 연구는 미래 사망률을 예측하는 대표적인 확률적 사망률 모형인 Lee-Carter 모형을 사용하여 과거 생명표로 산출한 왜도를 기반으로 미래 사망률 지수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 왜도예측방식을 제시한다. 기존의 Lee-Carter 모형을 이용한 사망률 예측방식은 사망률 지수를 추정하고 미래값을 직접 예측함으로써 미래 사망률이 지나치게 개선되는 현상을 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산출된 연금액과 지급기간 추정 등 연금 공급자의 리스크 관리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존 예측 방식의 사망률 예측 결과와 제시한 왜도 예측 방식의 사망률 예측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기존 사망률 예측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분석결과 왜도 예측을 통한 Lee-Carter 모형의 사망률 예측은 기존 방식보다 사망률개선효과를 더 적게 반영하며 장수리스크를 덜 왜곡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방식 간 차이를 감안하여 적정한 미래 사망률 수준을 찾기 위해 임의로 부여한 가중치에 대해 향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have been continuous improvements in human life expectancy. Life expectancy is as a key factor in an aging population and can wreak severe damage on the financial integrity of pension providers. Hence, the projection of the accurate future mortality is a critical point to prevent possible losses to pension providers. However, improvements in future mortality would be overestimated by a typical mortality projection method using the Lee-Carter model since it underestimates the mortality index кt. This paper suggests a mortality projection based on the projection of the skewness of the mortality versus the typical mortality projection of the Lee-Carter model based on the projection of the mortality index, кt. The paper shows how to indirectly estimate future кt trend with the skewness of the mortality and compares the results under each estimation method of the mortality index, кt.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s that mortality projection based on the skewness presents less improved mortality at an elderly ages than the original projection.

1. 서론
2. LC 모형과 사망률 예측
3. 사망률 지수 k<sub>t</sub> 의 미래 예측값 산출방식 고안
4.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