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본어Ⅰ』교과서(6종)의 대화문 863개 문장을 6가지 상황요소(대화자의관계, 대화 장소, 대화 시간, 대화 주제, 대화 기능, 대화 참여자)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1) 대화자의 관계에서는 공(公)적인 관계 대화문 192개 중 ‘낯선 사람-낯선 사람’은 71개(36.98%)로 나타났고, 사(私)적인 관계 대화문 671개 중 ‘친구-친구’의 대화문이 534개(79.58%)로 나타났다. 2) 대화 장소는 실외가 167개, 실내가 664개, 기타가 32개로 나타났다. 실외에서는 ‘길거리 120개(71.86%)’, 실내에서는 ‘교실 353개(53.16%)로 나타났다. 3) 대화 시간은 ‘오전 56개’, ‘오후 266개’, ‘저녁 22개’, 시간대를 알 수 없는 ‘기타 519개’로 나타났다. 명확한 시간대를 나타내는 만남과 헤어짐, 신년인사 표현 「おはよう/おはようございます」, 「こんにちは」, 「こんばんは」, 「おやすみなさい」, 「あけましておめでとうございます」는 대화문에서 시간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반면에 기타는 시간을 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일상적 인 대화표현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4) 대화 주제는 일상생활에서는 ‘정보생활 187개’, ‘학교생활 142개’, ‘가정생활 127개’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생활은 ‘여가생활 205개’, ‘음식문화 120개’, ‘대중문화 47개’순으로 나타났다. 주로 집과 학교를 오가면서 장소, 시간을 묻고 답하는 내용과 상대방의 취미나 의향을 묻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5) 대화 기능은 ‘정보전달(질문-대답)’이 419개’, ‘행위요구(권유(요구)-승낙동의/사양)’은 146개로 나타났다. 간단히 묻고 답하는 ‘질문-대답’의 대화 기능을 통해 어떤 표현이 이어지는지 예측하여 반복하는 학습활동과 개인의감정과 의견을 표현하는 ‘권유(요구)-승낙동의/사양’의 학습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6) 대화 참여자는 ‘A-B(2인)’이 803개(93.05%)로 나타났다. 다수의 대화문은 ‘질문-대답’ 행위의 대화가 많았고, 그이외는 타인소개와 친구 집 방문에서 가족들과의 대화, 친구와의 단체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대화상황을 구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어Ⅰ』교과서(6종) 대화문이 다양한 대화자의 관계와 장소설정, 대화문의 이해도모를 위한 대화시간대를 알 수 있는 상황제시, 대화문에서의 일본의 주거문화나 전통예술에 관한 대화 주제 반영, 상대방의 대화의도를파악하고 개인의 감정과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대화 기능 구성, 학습활동 참여 수를 높일 수 있는 두 사람이상의 대화 참여자를 제시한다면, 실제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상황과 의도에 맞는 의사소통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of revised 2009 curriculum and classified 863 sentences according to six types of situation factors(Relation, place, time, content, act, participant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as below. 1) In public relation with dialogists, ‘unknown person-unknown person`` represented 71(36.98%) of 192 sentences.In personal relation with dialogists, ‘friend-friend`` represented 534(79.58%) of 671 sentences in the personal dialogues. 2) The places having a convers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places where were the outside(167 places), the inside(664 places) and others(32 places). Street had the largest portion(71.86%) of the outside and classroom had a 53.16% share in the inside. 3) The time having a conversation represented 56 sentences in the morning, 266 sentences in the afternoon, 22 sentences in the evening, 519 unknown sentences in the dialogues. Meeting, leaving and New Year`s greeting like 「おはよう/おはようございます」, 「こんにちは」, 「こんばんは」, 「おやすみなさい」, 「あけましておめ でとうございます」 were the obvious expressions to recognize the time but the unknown sentences were generally in use. 4) ‘Information life(187)``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dialogues in daily life, followed by‘school life(142) and ‘family life(127)``. In social life, most dialogues were ‘leisure life(205)``, followed by ‘food culture(120)`` and ‘popular culture(47)``. Most dialogues mainly included questions about hobby and intention, asking and answering the time and place while going to school. 5) The act of conversation covered ‘Information delivery(question-answer)`` that were 419 sentences, followed by it covered the act of request(suggestion-agreement/refusal) that were 146sentences. ‘Question-answer`` to predict the expression to follow and ‘suggestion-agreement`` to express personal emotions and opinions featured in the act of conversation. 6) ‘A-B(two people)`` was mainly represented among dialogists. Most dialogues were the act of ‘question-answer``. Otherwise, it consists of introducing someone, conversation with a member of the family at a friend`s house and text message with others. Dialogues of JapaneseⅠtextbook will enable learners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a correct expression depending on the real environment if the textbook shows diverse relations to dialogists and places where learners catch the time, Japan residential culture and traditional art, dialogues participated in the conversation more than two people regarding personal emotions and opin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