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7.110.140
18.217.110.140
close menu
}
KCI 후보
1980년대 중국의 다다운동 연구 -황용핑의 샤먼 다다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f Dadaism in 1980`s China -Regarding Huang Yongping`s works during Xiamen Dada Period-
김홍중 ( Hongjoong Kim ) , 김도연 ( Doyeon Kim )
UCI I410-ECN-0102-2016-600-000792471

샤먼 다다는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중국 푸젠성의 샤먼에서 일어났던 현대미술 운동이다. 1980년대 중국은 문화혁명 이후 새롭게 문화와 예술이 피어나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 전국에서는 수많은 예술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들은 이후 89년현대예술전을 통해 하나의 조류로 정리되었다. 85신조라고 이후 이름 붙여진 예술운동 중 하나였던 샤먼 다다는 황용핑, 린춘 등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20세기초 스위스에서 일어났던 다다이즘을 표방하여 반예술을 주장했다. 때문에 이들의 작품과 전시 활동은 85신조의 많은 예술운동 중에서도 가장 파격적인 형태였다. 특히 1986년 샤먼 신예술관에서 열린 《샤먼현대예술전》과 전시 후의 “전시작품개조, 훼손과 소각활동” 퍼포먼스는 중국 현대미술에 유래가 없던 극단적인 예술활동이었다. 86년부터 89년까지 샤먼 다다는 여러 전시와 퍼포먼스 등을 통해 당시 주류였던 전통적인 평면 회화나 조각과 완전히 다른 작품 세계와 기존 시스템에 대한 전복을 꿈꾸었다. 본고는 1980년대 중국에서 샤먼 다다라는 현대예술운동이 일어났던 배경부터 성립과 전개를 당시 발표되었던 사진 자료와 보도를 통해 살펴본다. 이들의 전시와 작품은 『중국미술보』등의 매체를 통해 중국현대미술계에 알려져 큰 반향을 가지고 왔다. 특히 황용핑은 자신의 글을 통해 샤먼 다다의 이론을 정립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샤먼 다다는 유동적인 단체였고 활동기간 또한 아주 짧았다. 하지만 문화혁명이 끝나고 막 예술과 문화가 표현을 시작하던 시기에 다른많은 예술운동들이 중국의 정치적 상황과 초기적인 작가들의 표현문제를 중점으로 다루었던 것과 달리 샤먼 다다가 예술과 작가의 근원적 문제에 접근하려 하였다는 것은 이들과 85신조의 다른 예술운동과의 가장 큰 차이였다. 또한 황용핑은 비트겐슈타인과 선종의 이론을 바탕으로 다다이즘의 재해석을 시도 하였다. 때문에 샤먼 다다는 비록 짧은 기간과 한정된 작품 수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중국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에 본고는 샤먼 다다에 대한 연구가 중국현대미술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데 큰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Xiamen Dada is the Modern Art Movement occurred in Xiamen, a city of Fujian province China, from 1983 to 1986. In 1980s, China had the new blossoming period of Cultures and Arts after the China Cultural Revolution. In this period, many Art movements occurred from all over the China, and they became a new art wave called ‘85 New Wave movement. Xiamen Dada, which is one of the Art group of ‘85 New Wave’ claimed Anti-Art which expressing the Dadaism occurred in Switzerland during early 20th century. The Xiamen Modern Art exhibition, held in Xiamen New Art Center in 1986, and the performance that incinerating all the art works after the exhibition was the most extreme case of China modern art activity. This study explores from the background of Xiamen Dada Modern in 1980s China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photograph documents and press release at the time. These exhibitions and Huang Yongping’s article “Xiamen Dada: A Kinds of post modernism?” released through the ‘Fine Arts in China’ and other media resonated with Chinese modern art. Xiamen Dada was a flexible group and had short period of movement in China modern art history. However,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Xiamen Dada was a distinctive movement that tried to approach the fundamental problems of art and artists. It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85 New Wave’ that focused on China’s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starting period Chinese artists can express art and culture, right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Besides, Huang YongPing re-interpreted Dadaism based on Wittgenstein’s and Zen meditation. Hence, even though Xiamen Dada had short period of time and limited art works, it has powerful influence on Chinese arts after. Therefore, this study of Xiamen Dada is expected to help in understanding diversity of Chinese contemporary art and providing new perspectives on Art.

Ⅰ. 서 론
Ⅱ. 샤먼다다의 시작
Ⅲ. 샤먼다다의 전개
Ⅳ.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