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3.168
3.144.3.168
close menu
}
KCI 후보
항공관련학과 전공 학생들의 신체적 매력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rceived Physical Attractiveness and Ego-Resilience on Employment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Airline Service Department
최용석 ( Yong Seok Choi )
Tourism Research 40권 3호 63-79(17pages)
UCI I410-ECN-0102-2016-320-000791842

항공기 수요 증가로 인한 국내 양대 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외국 항공사 등 항공사 취업기회 확대와 객실승무원의 배출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항공사 입사를 위해 체계화된 교육을 진행하는 항공관련 학과도 인기학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항공 관련학과 전공 대학생들이 느끼는 신체적 매력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취업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학생 취업지도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방식으로 국내 4년제 대학 2곳과 2년제 대학 2곳의 대학생을 표본으로 하여 총 28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먼저 신체적 매력 지각 요인 중 ‘외모’는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지치 않았으나 ‘신체적 자기만족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아탄력성은 취업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매력 지각 요인 중 ‘외모지향성’은 취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신체적 자기만족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적 자기만족도’요인은 자아탄력성과 취업스트레스에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Departments associated with airline service has been paid increasing attention as national airlines and low-cost carriers have recently provided many job opportunitie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areer advi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erceived physical attractiveness on ego-resilience and employment stress of students majoring airline service. bosecure preliminary data for career guidance by accurately understanding employment stress that college students feel.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self-administered survey with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and two colleges. A total of 28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mploying SPSS 18.0,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physical self-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job-resilience. Second, job-resilience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job stress. Finally, physical self-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job stress. In short, this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perceived physical self-satisf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job-resilience and job stres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