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성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플립러닝에 관한 고등교육분야에서의 연구를 분석하여 관련 연구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오늘날 대학들은 고등교육의 핵심가치라고 여겨지는 능력들을 함양시키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고, 이에 대한 대응 책으로 교육가정 개선과 교수법 개선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중 교수법 관련 대안으로 최근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비교적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의 역사는 짧지만, 연구물이 축적된 현 시점에서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추후 이 주제에 대한 연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일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러닝에 대한 20편의 연구를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개념적 틀을 활용하여 엄밀하게 분석하였고, 각 준거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플리러닝이 성공적으로 교육현장에 정착되기 위한 조건과 향후 플립러닝에 관련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igorously review extant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that has been given a rising interests as a measure of secur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part from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criticized for failing in equipping their customers with critical skills, which triggered them to review both curriculum and teaching learning method. In the middl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lies the flipped learning. For its relatively short history of research tackling the issues of flipped learning, now is the best time to review the extant studies on the topic to overview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in the field. With the goal in mind, this study restricted the journal articles reviewed to 20 and presented the results based on a conceptual framework derived from a rigorous literature review. Followings are policy suggestions and condi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