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19.129
18.118.19.129
close menu
}
KCI 등재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의 연계를 위한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미국 캘리포니아 주직업기술교육 기준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Ways to Develop Vocational Subject Curricula for an Alignment with General Education
백남진 ( Nam Jin Paik ) , 온정덕 ( Jung Duk Ohn )
교육과정연구 33권 4호 173-200(28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789077

본 연구는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이 연계된 모습을 전문교과 교육과정 문서가 명료히 제시해 주어야 한다 고 보고,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의 연계를 위해 전문교과 교육과정 문서는 어떠한 점에 초점을 두어 개발되어야할지 그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일반교육과의 통합을 요구하는 직업교육 개혁의 동향과 우리나라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동향을 알아보고, 둘째, 미 캘리포니아 주 직업기술교육 기준의 설정에 영향을 미친 미국의 교과 기준 개발 동향을 알아보고, 셋째, 캘리포니아 직업기술교육 기준의 사례를 살펴보고, 넷째,이러한 사례가 우리나라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의 연계를 위한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교과 교육과정에서 학생이 교과 학습을 통해 최종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취기준이 하향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통해 지식을 적용하여 복합적인 수준의 문제해결을 하는 수행을 진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문교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일반교과와 전문교과 간 내용의 연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전문교과 교육과정은 학교 졸업 후의 세계와의 연계를 위해 종합적인 설계 패러다임 속에서 개발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how gen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can be aligned from the position that the alignment should be explicitly present in vocational subject curriculum documents. We first looked into the new vocationalism, which requires integration with general education, and the vocational curriculum reform in South Korea. Second, we looked through the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CCR) movement and the standards movement, which bot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California career technical education (CTE). Third, we examined the CTE curriculum documents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subject curricula in South Korea. The study implications included that vocational subject curricula should be designed starting from competency, standards should be stated in terms of performance, vocational subject curriculum documents need to present the alignment of contents with gen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subject curricula should be developed in the larger picture of connecting life and work after graduation.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직업교육관의 변화와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동향
Ⅲ. 미국의 교과 기준 개발의 맥락과 직업기술교육 기준
Ⅳ.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직업기술교육 기준
V.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의 연계를 위한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주는 시사점
후 주
참 고 문 헌(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