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4
18.97.9.174
close menu
Accredited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과 통합을 중심으로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s Curriculum Reforms Based on the Balance and Integration of Top-down and Bottom-up Decision-making
김두정 ( Doojung Kim )
UCI I410-ECN-0102-2016-370-000788989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계획으로 보든 학생의 경험으로 보든 교육과정을 그것에 관한 의사결정으로 정의한다. 그래서 의사결정으로서의 교육과정을 하향식과 상향식으로 나눈다. 그런데 본 연구는 현재의 하향식 혹은 상향식 교육과정 개혁은 둘 다 성공적이지 못하여 양자 간의 균형과 통합을 시도하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의 문제 영역은 대안적 접근의 필요성,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전문학습공동체, 그리고 연구의 시사점 등이다. 대안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하향식과 상향식 교육과정 개혁의 문제점으로 교육과정 관련 기관―교육부, 교육청, 학교 등―간의 위계적·독립적 책무, 협력 관계의 절차나 기준 부재,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피드백과 지원 미흡, 자율화의 불비로 하향식 접근으로의 회귀 등이 지적된다. 대안적 접근은 교육부, 교육청, 학교 삼자 간 끊임없는 상호 작용을 전제한 경계선 없는 연결(permeable connectivity)의 원리로 함께 학교를 전문학습공동체로 만드는 일이다. 전문학습공동체로서의 학교는 학생의 학습과 학교 간 연대를 중시한다. 전문학습공동체로서의 학교의 목표는 구성원 교사 간 협력은 물론이고 교육청, 교육부 모두 함께 협력하여 역량을 구축하는 데 있다. 최근의 우리나라의 혁신학교는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취지로 보아 전문학습공동체로 바뀌는 학교의 사례가 될 수 있다. 교사를 주축으로 스스로 학교의 전문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하며 교육청도 예산, 인력 등에서 그 공동체를 지원한다. 본 연구의 논의는 전문학습공동체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위한 교육부, 교육청, 학교 간 협력 체제의 규정화, 학생에 초점을 둔 교육부, 교육청, 학교 등의 동일한 교육 목적관, 학교장의 협력적 지도성, 개혁의 잘못된 명료성 등의 견지에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현재의 하향식 교육과정 개혁에서의 점진적 변화, 전문 학습공동체 구축에 기여하는 국가 교육과정 규정 포함, 학교장과 교육감의 더 비중 있는 역할 등의 견지에서 제시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new alternative approach to current top-down and bottom-up curriculum reforms, neither of which has been regarded as successful. “Curriculum” could be defined as decision-making related to teaching-learning plan and its implementation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1) what are the major problems that drove the search for an alternative approach? 2) what is that alternative approach?and 3)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main problems that necessitated the alternative approach were: 1) the hierarchical and separate accountabilities among the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2) the absence of cooperative relational procedures among the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3) insufficient feedback and support regarding the autonomy of schools and teachers, and 4) the return to the top-down approach instead of the autonomy of schools and teachers was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The alternative approach to improving the main problems raised by current curriculum reforms might be called “schools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LC),” where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are linked with continuous interactions on the principle of permeable connectivity (Fullan, 2007: 262). As PLCs, the schools are focused both on students’ learning and the linkage of schools within each district. They aim to build the capacities of their own schools through cooperation among the teachers, local school districts, and government. The capacity building by schools is more important than their accountability. Discussions were made in terms of: 1) making clear relational procedures for permeable connectivity by mandates, regulations, or laws among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2) to establish the same educational goals focused on students, 3) to encourage cooperative leadership by school principals, and 4) to be alert to “false clarity” of reforms. Finally, some implications of the study will also be suggested.

Ⅰ. 연구 문제
Ⅱ. 교육과정 개혁에서 대안적 접근의 필요성
Ⅲ. 전문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Ⅳ. 논의, 결론 및 시사점
후 주
참 고 문 헌(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