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4.139.33
18.224.139.33
close menu
}
KCI 등재
수업의 유형과 학생참여양상에 대한 연구: Bernstein의 교육과정사회학 관점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Types of Instruction and Student Engagement in the Class in the Light of Bernstein’s Sociology of Education
이형빈 ( Hyoung Bin Lee )
UCI I410-ECN-0102-2016-370-000788843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사회학자 B. Bernstein의 ‘분류화(classification)’와 ‘구조화(framing)’ 개념을 활용하여 수업의 유형을 분석하는 틀을 구안하고, 연구 대상 학교의 수업 유형과 학생 참여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범주와 기준으로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구조화의 강/약’, 학생과 학생 사이의 ‘분류화의 강/약’, 교사와 교사 사이의 ‘분류화의 강/약’을 설정하였다. A중학교의 수업에서는 강한 분류화와 강한 구조화가 주로관찰되었다. 교사들은 주로 일방적인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학생들은 수업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잠을 자는 등 수업 참여를 기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C중학교의 수업에서는 약한 분류화와 약한 구조화가 주로 관찰되었다. 교사는 학생의 수업 참여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었으며, 학생과 학생 사이에는 협력과 소통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수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B중학교의 수업에서는 A중학교와 C중학교의 중간 형태의 유형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학교 및 교사는 수업 시간에 학생의 참여와 협력을 보장하고 배움이 느린 학생을 배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구축 등 교사 간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instruction and student``s engagement in class. Toward that end, it designs the tools of analysis of instruction in light of Basil Bernstein``s(1975) classification and framing. The category and standard of analysis is the strong/weak framing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strong/weak classification in student-student relationship, and the strong/weak classification in teacher-teacher relationship. In the middle school A class, ``strong classification and framing`` is always seen. Most classes are lecture-based, and the students are passively engaged in the class. In the middle school C class, ``weak classification and framing`` is always seen. Teachers lead student engagement, students work with their peers, and teachers try to use innovative form of instruction by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In the middle school B class, the middle type of instruction is seen.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motivate the students to cooperate with others and participate in class, to encourage teachers to attend to slow-learner, and to ensure that teachers create a learning community.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 고 문 헌(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