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2.154.243
3.12.154.243
close menu
}
사회갈등과 불교 : 법치주의를 중심으로
Social Conflict and Buddhism : Focusing on the Rule of Law
이규호 ( Kyu-ho Lee )
UCI I410-ECN-0102-2016-220-000796571

인류의 역사는 많은 갈등 속에서 사회발전의 진퇴를 거듭해 왔고, 발전과정에서 갈등은 새로운 질서를 향한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사회발전의 추동력을 생산하는 한편 또 다른 갈등을 형성하여 사회발전을 저해하기도 하였다. 조현아 대한항공 사건, 남양유업 사건 등을 계기로 최근 우리사회는 갑을논쟁으로 뜨겁다. 사회적으로 우월적 지위에 있는 갑의 횡포가 우리 사회의 곳곳에 만연되어 있다는 국민적 공감이 형성되어 가면서 갑을의 갈등관계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한국사회의 갈등지수는 OECD 회원국 가운데 4위에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또한 많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갑을관계를 복합적으로 보지 않고 이분법적으로 설정하고 갑의 횡포에만 초점을 맞추어 그에 대한 해법을 찾는다면 사회적인 갈등의 근본적인 해소방안을 찾는다는 것이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一切唯心造’에서 알 수 있듯이 중생들을 고통스럽게 하는 다양한 갈등은 마음의 병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의 해소가 불교 목표라고 본다.본 논문은 ‘갈등의 완전한 해결은 불가능하며 갈등이 없는 사회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사회갈등 문제를 불교와 법치주의 관점에서 그 해법을 탐구하는 것이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되어, 먼저 사회갈등의 의미와 현황을 보고, ‘법은 인간사회를 통한 오랜 경험 속에서 가장 합리적인 해결방안’이라는 시각 즉 불교와 법치주의 관점에서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세대. 이념. 문화. 계층사이의 분열과 과잉경쟁 등으로 발생한 사회적 갈등을 보는 불교의 시각은 갈등의 탓을 한 쪽에만 돌리고 비난하는 것이 아니며, 갈등해소를 위한 해법으로는 無我(타인과 구별되는 자신의 개념을 부정)와 緣起(세상만사는 무수한 요건과 조건에 의해 산출되며 그와 연관된 수많은 사건들에 의해 수반된다는 것)에 대한 통찰과 바른 인식, 慈悲(사랑하는 마음으로 타인을 즐겁게 해 주는 慈,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고통을 덜어주는 마음인 悲)심의 발현과 방편(중생구제를 위한 편의적 수단 방법으로 타인이 갖는다양성을 존중함으로써 타인을 적극적으로 포용하는 개념)의 구사, 평정심의 유지를 강조한다. 또한 갈등의 근원인 三毒心(삼독심)제거 수행법으로 五停心觀(내 몸이나 이성의 몸의 더러움을 떠올리는 부정관, 모든 생명체의 행복을 빌고 슬픔에 공감하는 자비관, 연기의 도리를 잘 관찰하는 慧의 수행으로서 연기관, 아견이나 아상을 타파하고 오음성고를 해소하는 계분별관, 호흡을 잘 관찰하여 산란심을 진정시키는 수식관)을 강조한다. 이상에서 볼 때, 사회적 갈등에 대한 불교적 해법은 궁극적으로 최고의 선을 지향하는 것이며 상호존중과 이해, 신뢰를 통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형성이라는 생각이다. 사회갈등 문제의 해소방안을 법치주의의 관점에서 본다면, 타당한 법을 제정하고 그법을 공평하게 적용하는 것이 그 핵심이다. 따라서 내용이 타당한 법의 지배즉 실질적 법치주의의 실현이 중요하고, 그 다음이 법 앞에 평등과 법적용의 평등이다. 내용이 타당한 법이 만들어지고 그 법이 공평하게 적용되어 공감되는 정의사회가 구현되는 것이 갈등 없는 사회로 가는 길이 아닐까 생각한다.우리사회의 발전단계를 고려한다면, 승자독식의 성취만능주의 문화에서 벗어나 구성원 상호이해와 공동선을 존중하는 문화가 절실하며, 이의 실현을 위해 사회구성원의 합의에 기초한 法 등 사회규범의 형성이 중요하다.

Human history has repeated the advance and retreat of social development in many conflic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conflicts provide an opportunity of transition towards a new order to produce a driving force of social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forms the other conflict was also inhibit the development of society. Johyeonah case, in the wake of the recent events, such as Namyang our society is hot to the debate on the handcuffs. The ABC tyranny in socially superior position is formed that is widespread public sympathy is everywhere in our society is going in the handcuffs conflict has become a social issue. Index of Korea conflict society is among the top four OECD countries. The resulting social costs are also many situations. So it should look for alternatives to solve them. There comes a voice. Setting the headland to the dichotomous relationship will be difficult, however, and if you``re looking for solutions, focusing only on ABC domineering look for ways of resolving the fundamental social conflict. Various conflicts and painful rebirth is thought to result from disease of the mind, that sees its goal of Buddhism is resolved.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complete solution is impossible and there is no society without conflicts of conflict "work that means that despite the fact that explores the solutions to current social conflicts in Buddhism and the rule of law perspective, first, Reporting the meaning and status of social conflict, "the law is the most rational solution in human society through long experience, we propose the solutions in other words from the time the Buddhist point of view of the rule of law. Generation. Ideology. culture. But not to condemn turn blame on one side of the time the Buddhist view the social conflict caused by fragmentation and excessive competition such as between layers conflict, as a solution for the conflict resolution is countless is their concept of negative and vanities that are distinct from the others, Requirements and calculated by the condition and those insights about being accompanied by a number of events associated with the right recognized in the loving heart that pleases the others mind, speaking of compassion expression and a way of mind to relieve pain here is mind others , it emphasizes the maintenance of composure. It also emphasizes the five jeongsim tube to remove the source of samdoksim suhaengbeop of conflict.When viewed in daily, Buddhist solution to the social conflict which ultimately will direct the highest good.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the idea of society formation to pursue universal values through a trust. Look at ways of resolving social conflic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ule of law, and that the key to enacting relevant laws and enforce the law impartially. Therefore,content that is actually realized the importance of governance and the rule of law in the pertinent law, then the law is equal for equal before the law. The relevant information is made law applied the law impartially and I think that the society is implementation-defined length of empathy conflict without going to the community. Give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our society, and have achieved universal care culture that respects the member mutual interest and common good out of the culture of winner-take urgent formation of 法 such as social norms based on consensus in the society for its realization is important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