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 현장의 영재학급에 대한 바람직한 일반화 수업 구현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GSP를 활용한 일반화수업을 설계 및 적용해봄으로써 수업의 실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영재학급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GSP를 활용한 Viviani 정리의 일반화 수업을 계획하여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GSP에 의한 추측 조정과 패턴 확인’, ‘GSP 확인이 증명이라는 오개념과 극복’, ‘주제 이탈과 인지적 격차’, ‘미완의 추측에 의한 증명 완성’, ‘일반화와 일반성 이해 사이의 괴리’라는 다섯 가지 주제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한 주제를 토대로 영재학급에서의 바람직한 일반화 수업 구현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implement a preferred generalization classes for gifted students. By designing and applying the generalization lesson using GSP,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n the class. To do this, we designed a lesson on generalization of Viviani theorem and applied to 13 8th grade students in a math gifted class. As results, we could extract five subjects as followings; mediating the conjecture by GSP and checking the pattern, misunderstanding the confirm by GSP as a proof and its overcoming, digressing from the topic and cognitive gap, completing the proof by incomplete conjecture, gap between the generalization and understanding generality. Based on this subjects,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order to help implement a preferred generalization classes for gifted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