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국어교육에서 “배려” 연구의 동향과 전망
A Trends and Prospec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tudies about “Caring”
서현석 ( Hyun Seok Seo )
우리어문연구 vol. 54 491-509(19pages)
UCI I410-ECN-0102-2016-710-000793339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에서 논의되는 ‘배려’의 개념과 내용을 ‘상생화용’과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생화용의 관점은 그 동안 국어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온 상대를 ‘배려’하는 언어 사용에 관심을 둔 것으로, 서구 중심의 의사소통 이론을 적용해왔던 국어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다. 학습자의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바른 언어사용’을 위한 내용 성취기준으로 ‘배려하는 표현’을 제시하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소통하는 교수·학습 운용 방법을 명시한 바 있다. 이는 최근 고시된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도 이어져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에 기여하는 국어과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관련을 맺는다. 그 동안 국어교육에서 ‘배려’ 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배려적 국어 표현’에 대한 개념을 모색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논의하면서 진행되어 왔다. ‘말’과 ‘글’을 통한 배려적 삶의 구체화와 실천은 근본적인 국어 교육의 목표라 할 수 있으며, 현행 교육과정의 정신에 비추어 볼 때에 좀 더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연구자들은 ‘배려하는 국어사용’이 교실을 비롯하여 가정과 사회 등 다양한 국어 학습 공동체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국어 교육의 내용을 확장하고 구체화함으로써 공교육을 통한 국어 교육의 실천 방안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and ways of ``Caring``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views it with aspects of ‘Sang-saeng language utility`` and ‘Character Education’, considers the trend of Korean education studies for ``Using the Korean under Caring`` and searches for the goal of future Korean education. 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have been negle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about Sang-saeng language utility specially attend to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are in verbal communication field, raise question on Korean education that has just reflected Western communication theory and find the alternative plan.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revised in 2012 for learner``s cultivation of character suggests ‘right language utility``as standard of accomplishment, refers to ‘caring Korean expression``, emphasizes respect about each other``s opinion in teaching·learning management method. Results of consideration about ‘care`` education notify that studies about ‘care``education constantly have been progressed through various aspects, finding conception of ‘caring Korean expression``,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and etc. The fundamental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refine and practice of Caring in life using ``Verbal language`` and ``language``. ‘Using the Korean under Caring’ should be realized in every Korean community including Korean classroom, small ecosystem of real Korean language utility.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 to concretize it and have much attention to practical problem through school education.

1. 서론
2. 국어교육에서 ‘배려’에 대한 접근
3. 국어교육에서 ‘배려’ 연구의 동향
4.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