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적 교육 방안 연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Self-Introspective Writing” -Focussing on Actual Application Cases of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Liberal Arts Writing Education-
강민정 ( Min Jung Kang )
우리어문연구 vol. 54 413-457(45pages)
UCI I410-ECN-0102-2016-710-000793319

본고는 학생들의 인문 소양 능력을 향상시키며 시민 윤리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대학 교양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는 데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인문적 목적성을 실천하기 위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교육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단국대학교의 필수 교양 수업 <사고와 표현>에서‘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직접 실시했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것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우선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선 성찰 후 글쓰기’라는 순차적 접근을 통해서 수업이 설계되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후 1차 실습으로 학생들에게 영화 에 대한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서사에 담긴타자성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인식으로 말미암아 학생들의 내면에는 자기 성찰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려는 의지가 생성되었다. 이후 학생들에게 리쾨르가 제기한 ‘자체성과 자기성의 구분’을 활용한 자기성찰의 사유 방법을 가르치고, 2차 실습으로 자신의삶을 돌이켜 보고 자체성과 자기성을 구분해 보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의 의지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로써 표현 의지가생성된 학생들에게 적극적 자기표현을 시도할 수 있는 관련 글쓰기 방법을 지도하였다. 이때 교재 『사고와 표현』에 제시된 바 있는 ‘개념화’를 3차 실습에서 가르쳐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구분되어 있던 ‘자체성과 자기성’을 통합하는 과정으로서의 변증법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이를 창의적 표현으로 개념화하도록 하였다. 3차 실습의 결과물에 경험적 사례를 덧붙이게 하여 생동감 있는 전달법을 고민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성적에 반영하는 과제로 내주어 스스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세 번의 실습 및 교수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비로소 한 편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는 단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그들을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타자 그리고 우리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을 실천적으로 모색하게 하는 서사적 경험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 중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그간 중·고등 교육의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시간을 들여 자기 자신을 능동적으로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대학생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지닌 의미와 가치를 음미해볼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는 점과 나아가 정체성이란 것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타인과의 상호 교섭을 통해 언제까지나 적극적으로 구현해나갈 수 있는 긍정의 과정임을 깨닫게 했다는 점에서 이 수업의 효과성이 입증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up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which shall be carried out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s in order to promote accomplishments in humanity capabilities of students and encouraging citizen moral consciousness. Specially, attentions were given to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to practice humanistic purposes. So, researcher tri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by focussing on actual cas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directly in ‘Self-introspective writing’ at the essential cultural studies of Dankook University. For doing so, this study judged that the class should be designed through sequential approaches called ‘Self-introspective writing after pre-introspection’ regard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first. Therefore, this research made students 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introspection by making them to write appreciations on a movie after showing the movie preferentially as the first practice, and then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ness contained in the narration. Due to such cognizance, intentions of positively carrying out self-introspection in inner sides of students were created. After that, thinking way of self-introspection utilizing ‘Separating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having been suggested by Ricoeur was taught to students, and this study suggested to separate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after recalling own life as the second practice. This process gave helps for students to create self-expression intentions, and methods of writing relevant articles by which positive self-expression could be tried were guided accordingly. At that time, ‘conceptualization’ having been stated in the text 『Thought and Expression』 was suggested as the third practice, and dialectics as the course of integrating classified ‘self-consistency and self-aspect’ were executed, and then reached to its conceptualization as creative expressions. Based on results of the third practice, this study let empirical cases which could materialize the results be added, and students worry about vividtransferring methods, and then submit assignments by complet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in person after giving this as an assignment which was reflected to school records. Through teaching feedback having been made in each times and three-times practices, students could be reached to the stage of completing one self-introspective writing. This process has a meaning in that it made students execute narrative experiences by which they practically grouped understanding on us and comprehension further as well as understanding on their own. In addition, a fact could be judged that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enables students having been accustomed to learning by rote in middle & high school educations for the time being to positively look back oneself by taking time, and thus it would be helpful in growing up as more positive, autonomous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effectiveness of this class is proved in that it presents opportunities of being able to savor meaning and value kept in self-introspective thoughts, and makes students recognize a fact that identity belongs to positive process which could rather implement positively at any time through mutual negotiating with others in stead of being regulated by the governing ideology.

1. 서론
2.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 과정 설계와 방안
3. 실제 수업 사례의 분석과 효과
4.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