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88.125.151
18.188.125.151
close menu
}
KCI 후보
도형 학습에서의 오류 찾기 활동의 적용 효과
Effects on the Application by Finding Errors in the Learning of Figure
임지현 ( Ji Hyun Lim ) , 최창우 ( Chang Woo Choi )
UCI I410-ECN-0102-2016-370-000801258

본 연구는 초등수학의 여러 영역 중 도형 학습에서 오류 찾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 유형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학업 성취도와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는 부정확한 개념과 정의에 의한 오류(55.8%)이며, 문제해결을 기피하는 오류(14.8%)를 제외하면, 시각적 자료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오류(11.4%), 문제 자료를 곡해하는 오류 (9.2%), 기술적인 오류(6.2%), 논리적으로 부적절한 추론으로 인한 오류(1.6%), 문제 자료를 불충분하다고 여기는 오류(1.0%) 순으로 나타났다. 오류 찾기 활동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사전 및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와 추론 능력 검사에서 유의수준 5% 이내의 유의미한 차를 보였다. 이는 오류 찾기 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추론 능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교수 방법 중 한 가지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ase of error became the object of learning, and the investigator applied these cases to an actual class and established three study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udents`` errors in figure based on before achievement test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most errors occurred in the figure was the ones from deficient mastery of prerequisite concepts and definitions. Specially, the errors from deficient mastery of prerequisite concepts and definitions have the majority. it is very high ratio even if it considers an influence of an evaluation question item. so, I think it is necessary to teach concept related figure above all. Second, as the results of application ``finding errors`` to a clas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reasoning ability within significance level 5%. This means ``finding errors``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 that it develops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reasoning ability.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결과분석 및 논의
V. 마치며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