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9.242.75
3.149.242.75
close menu
}
KCI 등재
사회적 지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애착유형과 영유아의 사회정서유능성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ttachment style, and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심숙영 ( Sook Young Shim )
아동교육 25권 1호 21-47(27pages)
DOI 10.17643/KJCE.2016.25.1.02
UCI I410-ECN-0102-2016-370-000859178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애착유형이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사회정서유능성,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 소재의 영아전담 어린이집에 다니는 12-43개월의 205명 영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유형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사회정서유능성, 문제행동) 간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은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다시 애착유형을 매개로 영유아의 사회정서행동(사회정서유능성,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ttachment style and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205 mothers and children from 12 to 43 months in child care centers were participat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social support had influenced directl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had influenced directly on secure attachment style. Third, attachment style had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Finally,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ttachment style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 outcome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These results shows clearly the paths in which social support,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secure attachment style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as well as the relationship is connected to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behaviors(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