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동물 및 기타 전라북도 자연환경조사 (동물자원)
The Study of Natural Resources in Jeollabuk-do (Animal Resources)
임동옥 ( Dong Ok Lim ) , 윤홍균 ( Hong Gyun Yoon ) , 최대훈 ( Dae Hoon Choi )
UCI I410-ECN-0102-2016-470-000507670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동물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동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동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동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2차와 3차 조사결과를 문헌리뷰하여 결과를 업었고, 시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 담수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5문 8강 20목 87과 312종이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종의 관찰은 유량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며 또한 계절에 의한 종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들 무척추동물 중에서 전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동물군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산간계류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강도래류 토우민강도래, 진강도래, 녹색강도래, 꼬마강도래, 총채민강도래, 날도래류에는 검은머리물날도래, 플라나리아, 옆새우류 등이 발견되었다. 강의 하류나 평지에서는 비교적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종들이주를 이루었다. 전라북도 담수에 서식하는 어류는 최근 문헌자료에 의하면 총 9목 19과 88종이 보고되었다. 이 중 잉어목이 51종으로 가장 많았고, 칠성장어목 1종, 뱀장어목 2종, 메기목 6종, 바다빙어목 2종, 숭어목 2종, 동갈치목 2종 드렁허리목 1종, 횟대목 21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멸종위기종 Ⅰ급 어류는 임실납자루, 감돌고기 총 2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 어류는 다묵장어, 꾸구리, 돌상어, 모래주사 총 4종이 출현하여 총 6종의 멸종위기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특산종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쉬리, 참중고기, 중고기, 긴몰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돌마자, 왕종개, 줄종개, 미유기, 눈동자개, 자가사리, 꺽지, 동사리, 얼룩동사리, 큰볏말뚝망둥어 등 22종으로 전체 25%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어종은 블루길 베스 2종이 보고되었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육상곤충류는 18목 249과 2,105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Ⅰ급은 없었으며, Ⅱ급에 속하는 고려집게벌레, 멋조롱딱정벌레, 붉은점모시나비, 비단벌레, 쌍고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등 6종만이 기록되었다. 고려집게벌레는 전주시 완산 칠봉에서 최근에 관찰되었으며, 멋조롱딱정벌레는 무주군에서 문헌상으로만 전해지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무주군, 정읍시, 진안군에서 문헌기록상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단벌레는 부안 변산국립공원과 정읍내장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쌍꼬리부전나비와 왕은점표범나비는 각각 무주군과 무주군 및 정읍시에서 문헌기록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최근까지 관찰기록은 없었다. 전라북도 양서류는 총 2목 6과 19종이 출현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Ⅰ급에 해당하는 수원청개구리 1종과 Ⅱ급에 해당하는 맹꽁이, 금개구리 2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두꺼비, 맹꽁이, 금개구리 3종이 확인되었고, 외래종은 황소개구리 1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2목 10과 30종이 출현 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Ⅱ급은 구렁이 1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남생이, 까치살모사 2종이 출현하였고 외래종은 붉은귀거북 1종이 출현하였다.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총 17목 53과 257종이 출현하였다. 아비목 1과 1종, 논병아리목 1과 4종, 사다새목1과2종, 황새목 2과 14종, 기러기목 1과 26종, 매목 2과 17종, 닭목 3과 4종, 두루미목 1과 4종, 도요목 5과 49종, 비둘기목 1과 3종, 두견목 1과 5종, 올빼미목 1과 5종, 쏙독새목1과 1종, 칼새목 1과 2종, 파랑새목 3과 6종, 딱다구리목1과 4종, 참새목 27과 110종이 출현하였다. 천연기념물에속하는 조류에는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황조롱이, 원앙 16종이 있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Ⅰ급에는 매, 청다리도요사촌,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총 5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 종으로는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큰기러기, 물수리, 별매, 솔개, 조롱이, 큰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새홀리기, 뜸부기,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긴꼬리딱새총 24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은 총 29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에는 고창군과 군산시 지역에서 노랑부리백로 1종만이 발견되었다. 전라북도 포유류는 총 5목 11과 30종이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포유류는 하늘다람쥐, 수달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환경부 멸종위기종Ⅰ급에 수달 1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에는 삵, 담비, 하늘다람쥐 총 3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이 총 4종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으로는 멧토끼와 고라니 2종이 확인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