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의 삶이자 개인적 지리 생성의 맥락이라고 볼 수 있는 어린이의 일상적 여정의 지리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어린이는 매일 집을 나서고 다시 돌아오는 여행을 통해 생활세계의 지리를 구축하고 있으며, 그들의 삶 속에서 지리를 실천하고 있다. 아이들의 매일의 삶 가운데 무엇보다 지리적인 것은 그들이 어딘가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 과정 속에서 세계를 마주한다는 사실이다. 어린이의 지리적인 삶은 움직임의 역동성과 공간적 실천을 통해서도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사회과학 분야 전반에는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new mobilities paradigm)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으며, 지리학 내에서도 이동성의 지리(geographies of mobilites)에 대한 연구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함께 걷기(walk-along)’, ‘함께 타기(ride-along)’ 등 ‘함께 가기(go-along)’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이동과 움직임이라는 관점을 통해 초등학교6학년 어린이들의 일상적 삶과 여정을 드러내었다. 어린이의 일상적 여정의 지리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은 초등 지리교육의 기반을 교과나 학문에 두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의 삶에 두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children’s everyday journey in geography education which is children’s life and context of personal geography creation. Children build geography of life world and practice geography in their lives through everyday journey. What is geographical in children’s everyday lives is that they head for somewhere and face the world while they mov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hildren’s geographical life through dynamics of movement and spacial practice. In recently years, social science has shown an increase in an interest in new mobilities paradigm. In the field of geography, research on geographies of mobilities has continued. This study revealed everyday life and journey of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movement by using methods of go-along such as walk-along and ride-along. Revealing the meaning of children’s everyday journey in geography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ces foundation of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on children’s life not subject or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