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태평양전쟁기의 문부성과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국민학교 지리교과서에 기술된 일본 지정학사상을 고찰한 것이다. 근대 라첼의 정치지리학은 스웨덴의 첼렌, 독일의 하우스호퍼 등의 지정학자에 의해 일본 지정학 성립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일본에서는 1940년을 전후하여 교토학파와 일본지정학협회 두집단의 지리학자에 의해 지정학 연구가 전개되었다. 그 영향으로 이 시기에 편찬된 국민학교 지리교과서에는 일본 지정학 사상이 반영되었다. 지리교과서의 지정학 관련 내용은 국토의 우수성 자각, 대동아건설을 위한 동아지리, 그리고 일본의 동맹국과 적대국 중심의 세계지리 등이다. 특히 일본의 적대국 미국과 영국에 대해서는 적개심을 갖도록 비난하고, 격멸, 분쇄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기술되어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apanese geopolitic thought in the elementary(kokumin) school textbooks published by Japan Ministry of Education and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in the Pacific War. The modern Ratzel’s political geography influenced directly or indirectly on establishing Japanese geopolitics through Kjellen of Sweden, Haushofer of Germany, etc. By sometime around 1940 of Japan, the scholars of the Kyoto School and Japanese Geopolitics Association led geopolitical research. Therefore, such Japanese geopolitical thoughts were reflected in the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f this period. The geopolitical contents in geography education textbooks include awareness of the excellence of the land, East Asian geography for building the greater East Asia, world geography in terms of Japanese allies and adversaries, and so on. Particularly, Japanese adversaries such as United States and Britain were criticized and should be destructed in order to have animo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