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20.108
18.116.20.108
close menu
KCI 등재
월세가구의 월세부담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nthly Rent o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성영애 ( Young-ae Sung )
소비자학연구 26권 6호 161-178(18pages)
UCI I410-ECN-0102-2016-320-000514609

본 연구의 목적은 월세가구의 가계수지와 소비지출구조는 전세가구 및 자가가구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월세가구의 월세부담은 소비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월세부담은 월세의 절대적 변화와 상대적 변화의 영향을 함께 살펴보기 위해 월세지출규모와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월세의 비중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4년 가계동향조사 원자료이며, 교차분석,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월세가구의 소득, 소비지출, 저축수준은 전세가구나 자가가구와 비교하여 낮았으며 적자가구의 비율이 더 높았다. 월세가구의 소비성향은 자가가구나 전세가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월세지출에 기인하는 바가 컸다. 둘째, 월세가구는 전세, 자가가구보다 12개 비목 중 9개의 비목의 지출규모가 더 작았다. 소비비목별 지출비중을 보면 월세가구는 주거비 및 수도광열비의 비중이 25.3%로 가장 높았고, 이중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17.3%였다. 셋째, 월세규모가 크면 총량적인 의미에서 소비지출규모도 컸지만,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소비지출규모는 오히려 작았다. 넷째, 월세가구는 월세규모의 증가보다는 월세비중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는데,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월세를 제외한 소비지출, 대부분의 세부 지출비목의 지출규모가 축소되었다. 다섯째, 월세규모와 월세비중 모두 소비지출비목간의 비중조정에 영향을 미쳤다. 월세규모와 월세비중이 증가하면 다른 대부분의 소비지출비중은 감소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among the households living in monthly rental house, Jeonse house - “Jeonse” is a real estate term which is unique to South Korea where a lump sum deposit is given the landlord without monthly rent and same amount of deposit should be returned to the tenant when the rental contract completes. - and owned hous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nfluences of monthly rent o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of the households living in monthly rent house. The effects of housing rent burden were investigated by two measures. : the amount of monthly rental fee and the ratio of rent to total consumption. The data came form the 2014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of Koran Statistics.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expenditure and saving of those household living in monthly rental house were lower than those of households living in Jeonse and owned house. Second, expenditure levels of 9 in 12 consumption categories were less than those of households living in Jeonse and owned houses. Housing expenditure accounted for 25.3% of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 and rent amount accounted for 17.3%. Third, increase in the amount of rent fee tended to increase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 however increase in rent burden was more likely to decrease it. Fourth, the effects of rent ratio were stronger than the effects of rent amount on the amount of expenditures of subcategories. As the rent ratio increased, the households decreased most of the expenditures of subcategories. Fifth, increases in both rent amount and rent ratio tended to decrease the expenditures of other consumption categories.

I. 서론
II. 선행연구의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