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調査는 森林樹木의 樹高에 따른 年輸의 生長變化를 分析함으로써 年輸의 生長에 依한 森林의 現存量과 生産性의 推定式(張 1974)에 適用할 수 있는 最適切幹 部位를 決定하는데 있다.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분비나무, 잣나무 및 구상나무는 伐木高의 增加에 따라 樹齡이 減少하나 年輸面積의 生長速度는 현저히 增加하였다. 2. 자작나무는 伐木高의 增加에 따라 樹齡인 減少하나 年輸面積의 生長變化는 一定치 않았다. 3. 年輸의 生長에 依한 森林의 現存量과 生産性의 推定式에 適用될 수 있는 가장 좋은 切幹部位는 地上 0.10m의 部位이며 立地條件는 依하여 이 部位가 異常肥大하였을 境遇에는 胞高樹高以下의 部位에서 가장 地面에 가까운 部位가 적당하다. 4. 異常肥大한 것이 아니면 伐木한 나무그루터기도 年輪의 分析材料로 充分히 利用될 수 있다.
The annual ring of the forest trees expresses the history of their growth. The precision of a modified procedure for estimation of the area of the annual ring depends upon the selection of the optimum cutting hight of the sample trees. The growth rate of Abies nepholepsis, Pinus koraiesis and Abies koreana except for Betura plantyphylla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e hight. The optimum cutting hight of the stem of the forest trees is 0.10m and the stumps of the forest trees can be used to the growth analysis of the area of the area of the annual 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