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행정가치 추구를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사회적 정당성이나 신뢰를 획득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이 연구는 행정가치를 본질적 가치(공익성, 형평성)와 수단적 가치(전문성, 투명성, 효율성)로 구분하여 정부의 행정가치의 구현정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질적 가치 중 정부가 공익성 가치를 잘 구현한다고 인식할수록, 수단적 가치 중 정부가 전문성과 효율성 가치를 잘 구현한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질적 가치인 정부의 형평성과 수단적 가치인 투명성 가치의 구현정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정부신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공익과 사회통합을 의미하는 공익성 가치와 국민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성 가치, 그리고 지속적인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 가치의 확보 노력을 통해 일반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perception of administrative value-based government performance on public trust in government. Categorizing administrative values into essential values (public interest and equity) and instrumental values (professionalism, transparency, and efficiency), this study tests key hypotheses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n citizen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Korean citizens perceive that the government realizes public interest,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e more it appears that they trust government. However, perceived equity and transparency are not associated with trust in govern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essential values are not necessarily more important to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an instrumental values, even though they are more fundamental and critical valu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level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is more affected by perceived efficiency than by perceived equity. Public interest and professionalism also appear to be more significant than transparency for public trust in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