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과정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실시되는 장기 과학연구프로그램이다. 사사과정에 진입한 학생들은 준비상태가 다르므로, 기본적인 능력이 동일하지 않다. 그래서 이들의 평균적인 과학 탐구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입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입문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과학의 본성, 과학의 탐구과정, 의사소통을 기본 성취기준으로 하는 ‘과제연구’ 교과의 내용과 유사하게 구성하였다. 연구는 G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중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입문교육은 2일간 총 16시간이 진행되었다. 전체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사전과 사후에는 과학의 본성,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사과정 입문교육에서 학생들의 선호도와 만족도가 가장 높은 수업 형태는 실험활동과 팀활동이었다. 둘째, 사사과정 입문교육을 통한 과학의 본성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수준 5%에서 향상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 집중교육으로 이뤄지는 사사과정 입문교육은 과학의 본성, 의사소통 능력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사사과정 입문교육은 과학의 본성이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기대하기보다는 학생들에게 팀별 활동에 대한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여 협업 능력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향후 사사과정 입문교육 프로그램의 세부 수업 내용은 실험활동 등과 같은 팀활동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rough its well established mentorship program,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has come to recognize that the state of student readiness for mentorship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ir differences in their basic abilities.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introductory program to cultivate students’ average scientific processing skills and to evaluate the program’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program was a subject research with basic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inquiry process, and communication. In the study, it is intended for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40 people in G university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introduc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16 hours over 2 day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using a pre-post test model to measure the nature of science, the communication abilities performed, and we analyzed the chan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as highest during classes which included experiment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Second, the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did not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s short-term intensive courses do not greatly help students’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In addition, it is more important in a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to provide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for team activities to increase collaboration rather than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Therefore, in the future, sub-class content for the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team activities such experimenta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