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견관절 탈구의 도수 정복 중 생긴 의인성 골절 -2예 보고-
Iatrogenic Humeral Fracture during Reduction of Shoulder Dislocation -Two Cases Report-
조형래 ( Hyung Lae Cho ) , 김형민 ( Hyoung Min Kim ) , 박기봉 ( Ki Bong Park ) , 왕태현 ( Tae Hyun Wang ) , 이동현 ( Dong Hyun Lee )
UCI I410-ECN-0102-2016-510-000560103

견관절 탈구는 응급실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급성 관절 외상 중 하나이며 도수 정복을 통해 대부분 정복된다. 그러나 고령환자의 경우는 무리한 도수 정복 시 의인성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복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저자들은 견관절 전방탈구로 인해 응급실로 내원한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도수 정복 중 생긴 의인성 상완골 간부 골절 및 해부학적 경부 골절이 발생한 2예를 경험하였다. 1예는 최초 견관절 탈구 환자였으며 다른 1예는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였고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하고 있었다. 각각 골수강내 금속 정 및 역형성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Shoulder dislocation is the most common dislocation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In old age, the attempt of closed reduction is made with caution in order to prevent iatrogenic fracture around the shoulder. We report two cases of iatrogenic fractures of humeral shaft and anatomical neck in female patients older than 70 years old, which occurred during the manual closed reduction. One patient was proved as first-time and the other was recurrent. In addition, the second case had a massive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 Those patient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humeral nailing and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respectively.

증례 보고
고 찰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