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수업은 이미 정해져 있다기보다 교실에서 교사 스스로가 반성하고 개선해나가는 과정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좋은 사회과 수업은 ‘숙의하는 수업’이라는 나의 신념에서 출발하여, 그 신념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으며 실현되지 않는다면 무엇이 문제인지 찾고 개선해나가는 것에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출발점에서 막연하게 가지고 있던 좋은 사회과 수업으로서 ’숙의하는 수업‘이라는 신념은 수업 실행과 반성을 통해 네 가지의 구체적 실천원리와 열한 가지의 기법을 지니고 있는 신념으로 정교화 되었다. 또한 나의 신념, 수업, 학습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발전해나갔다. 결국, 교사가 수업 개선의 중심이 되어 스스로 노력하며 만들어 가는 수업은 나 자신에게도 교직의 만족감과 행복감을 주었다. 좋은 수업을 과정으로 인식하는 관점은 수업을 통해 행복해지는 교사의 성장이라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Good teaching cannot be predefined by outsiders. It is created through the process that a teacher reflects and improves his or her teach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starts from my belief that good teaching in social studies is ``deliberative teaching,`` And the study aims to find out how my belief is embodied in my social studies teaching and what the problems are between my belief and my teaching, and to improve my instructional practices. When I started this study, I had somewhat vague idea on the ‘deliberative teaching’ as good teaching in social studies. However, the idea has been elaborated into my beliefs supported by practical principles and techniques found out through this action research. My beliefs, classroom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have been enhanced affecting each other. In conclusion, while conducting this study, I have taken the initiative role in improving the class and exerted voluntary efforts, which gave great satisfaction and happiness to me as a teacher. I believe that educators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real classroom practices to identify what good teaching is and thereby teachers will develop their professional capacities and enjoy happiness in engaging in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