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각종 사료 및 유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주전자의 조형적 특징과 미적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주전자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대한 지평을 넓히고자 함이다. 연구의 대상은 조선시대에 금속, 도자, 돌 등 각종 재료로 제작된 주전자이다. 연구 자료로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의궤(儀軌)』, 고문서 등을 살펴보았고 유물은 국공립박물관, 대학박물관, 사립박물관과 북한에 있는 총 60점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문헌기록을 살펴보고 유물을 분류 및 분석한 후 재료와 기술이 조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주전자 유물은 재료별로 나눈 후 다시 세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주전자들을 분류하였는데 손잡이가 몸체의 위쪽에 위치한 상파형주전자가 가장 많았고 손잡이의 위치는 몸체의 형태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주전자를 몸체의 형태에 따라서 분류하였다. 모든 재료의 주전자에서 구형(球形)의 몸체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기능상의 이유로 보였고, 도자 주전자에서 원통형과 다각형의 주전자도 다수 있었던 것은 도자 제작 방법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셋째, 물대의 형태에 따라 주전자를 분류하였는데, 도자 주전자가 금속 주전자에서 영향을 받은 흔적과 그것을 다시 발전시킨 형태를 찾을 수 있었다. 그다음으로는 금속과 도자 주전자에서 몸체와 손잡이가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서로의 형태를 비교해 영향관계를 찾아보았고, 재료에 따른 기법의 차이가 표면장식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로 조선시대 주전자가 고려시대 주전자에 비해 화려함은 절제되었지만 형태와 표면장식은 다양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전자의 각 요소를 형태별로 분류해 보았을 때 조선시대 주전자는 본질적인 기능에 충실하려는 의도가 제작에 많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Korean Kettles. It is achieved by looking in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the Joseon Dynasty kettle, an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of historical artefacts. The scope of this study is within the fields of kettles that are made of metal, ceramics, stone, and various of other materials. The theoretical reviews are made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Uigwe”, and other ancient documents; and practical reviews are done by looking at 60 pieces of historical artefacts that are owned by national, public and university museums; and North Korea. This research looks into how different materials and techniques effect the form of kettl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rough categorizing and analysing historical artefacts. This study categorizes the ancient kettles depending on their materials and then classifies them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concerns the location of the handle. Most of the kettles in this group had upper handle style and this study asserts that thelocation of the handle correlates to the form of the kettle’s body. The second group concerns the shape of the kettle’s body. Through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largest number of ancient kettles had sphere shaped body and it is assumed that such shape is effected by its function. There were also a large number of ceramic kettles with cylindrical and polyhedral shaped body; and it is assumed that such shapes are effected from the unique way of making with ceramic material. The third group concerns the shape of the kettle’s spout. Looking through this group of kettles, this study found traces of development on ceramic kettles that have been influenced by metal kettles. Subsequ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l and ceramic kettles by comparing how the handle and the body are assembled. Furthermore, it investigates how the decoration of the kettle surface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ques of the two materials. This study asserts that Joseon Dynasty kettles had diverse shapes and surface decorations,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less decorative than the kettles of Goryeo Dynasty.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design of the Joseon Dynasty kettles were dependent much on its fundamental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