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성(性)에 대해 부모와 기관종사자의 인식과 인식차이 그리고 이에따른 성교육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 3명과 발달장애인관련 기관종사자 4명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의 면담법으로 실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면담에서 전사된 자료들을 개방적 코딩방법을 통해 ‘장애에 대한 인식, 발달장애인의 성과 성욕구 그리고 성문제행동에 대한 인식, 인간관계(우정관계와 이성관계)에 대한 인식, 발달장애인의 결혼과 자녀갖기에 대한 인식 그리고 성교육 인식과 지원요구’의 5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인간의 경험이해에 초점을 둔 현상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에 대한 인식에서 부모와 기관종사자는 발달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은 발달장애인의 성(性)과 성욕구에 대해 인정하고 있었으며, 성문제행동에 대해서도 직접적·간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 기관종사자는 발달장애인의 친구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부모는 장애자녀의 친구관계가 이성관계나 성적인 관계로 발전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발달장애인의 이성관계에 대한 인식에서 부모와 기관종사자는 다소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인의 결혼욕구에 대해 부모와 기관종사자는 인정하고 있지만, 부모는 실제로 장애자녀의 결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부모와 기관종사자 모두는 발달장애인의 자녀갖기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은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부모의경우 장애자녀의 성교육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교육을 위한 지원요구에 대해서는 성교육 내용지원, 성교육방법과 자료지원, 발달장애인을 위한 질적 관리, 기관종사자의 성교육 재교육의 기회 지원, 부모와 기관종사자의 심리·정서적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and focus of this study is exploring recognize, difference of recognize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and facility practitioners towards sexua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study were 3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4 facility practitioners in disable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nd the methods of study was in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which was conducted using an in-depth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 by transcribing the recording(open cording method) which was about disability awareness, sexuality and sexual needs and Sexual behavior, friendship and Reason relationship, marriage and have children, sexual education and support needs for awareness and attitudes of the 5 subjects were important to derive themes and form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awareness: parent and facility practitioners with disabilities showed in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disabilities. Second, the development of the disabled sexuality and sexual needs: Study participants had to acknowledge the achievements of sexual need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bout Sexual behavior directly or indirectly act as showed by experience. Third, the friendship and Reason relationship : Parents and facility Practitioners were critical to recognize workers. However, parents are friends with the disabled children were negative for recognition as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or sexual relationship. Therefore, parents and facility Practitioners showed tha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perception. Fourth, marriage need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facility practitioners had to admit, the parents were recognized as negative for the marriage of his disabled child. Also parents and facility practitioners were recognized as negative about children hav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nally,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need of sexual education, but the parents were aware of the negative effects of sexual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And study participants for information, sexual education contents, sexual education methods and material support, quality management, Sexual education institutions offer an opportunity for facility practitioner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parents and facility practitioners, etc. need to b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