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반도 주변의 탄소순환에 대한 명확한 이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있다. 산림은 이산화탄소의 주요 흡수원으로 지상 탄소량의 대부분을 저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추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의 표본점에서 측정되는 헥타르당 임목축적량을 활용하여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한다. 하지만 탄소저장량은 요약된 수치 형태로 발표하고 있어 탄소저장량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변화가 빠르고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배치가 부족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UNFCCC의 Approach 3와 Tier 3를 충족하는 격자 기반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토지피복변화 및 산림탄소저장량은 1991,1992, 2010, 2011년에 취득된 Landsat 5 TM 영상과 고해상도 항공사진, 제 3차 및 제 5, 6차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토지피복변화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변화된 토지피복과 변화되지 않은 토지피복 항목을 한 번에 분류하여 추정하였으며, 산림탄소저장량은 반사도,밴드비율, 식생지수, 지형변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산림이그대로 산림으로 유지되는 지역의 경우 33.23tonC/ha의 흡수를 하였으며 비산림이 산림으로 변한지역의 경우 이보다 큰 36.83tonC/ha의 흡수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림이 비산림으로 바뀐 경우에는 .7.35tonC/ha로, 배출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향후 효율적인 산림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has required better understanding of carbon cycles over local and regional areas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Since forests serve as a carbon sink, which stores a large amount of terrestrial carbon, there has been a demand to accurately estimate such forest carbon sequestration. In Korea,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NFI) has been used to estimate the forest carbon stocks based on the amountof growing stocks per hectare measured at sampled location. However, as such data are based on point(i.e., plot) measurement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carbon stocks. This study focuses on urban areas, which have limited number of NFI samples and have shown rapid land cover change, to estimate grid-based forest carbon stocks based on UNFCCC Approach 3 and Tier 3. Land cover change and forest carbon stocks were estimated using Landsat 5 TM data acquired in 1991, 1992, 2010, and 2011, high resolution airborne images, and the 3rd, 5th~6th NFI data. Machine learning techniques(i.e.,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s/regression) were used for land cover change classification and forest carbon stock estimation. Forest carbon stocks were estimated using reflectance, band ratios, vegetation indices, and topographical indices. Results showed that 33.23tonC/ha of carbon was sequestrated on the unchanged forest areas between 1991 and 2010, while 36.83 tonC/ha of carbon was sequestrated on the areas changed from other land-use types to forests. A total of 7.35 tonC/ha of carbon was released on the areas changed from forests to other land-use types. This study was a good chance to understand the quantitative forest carbon stock chang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hange. Moreov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contribute to the effective forest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