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안평대군의 상서(祥瑞) 산수: 안견 필 < 몽유도원도 >의 의미와 기능
Prince Anpyeong and His Auspicious-Omen Painting: An Gyeon`s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조규희 ( Kyu Hee Cho )
UCI I410-ECN-0102-2016-600-000656569

세종대를 대표하는 화가인 안견(安堅)이 그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는 세종의 삼남인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이 의장(意匠)한 그림이다. 현재 〈몽유도원도〉 뒤에 붙어 있는 안평대군의 기문(記文)에 의하면, 안평대군은1447년 음력 4월 20일 밤에 꾼 꿈을 안견에게 그리게 하였고, 안견은 안평대군이꿈을 꾼 지 3일 만에 이 작품을 완성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꿈의 내용을 토대로〈몽유도원도〉는 왼편 하단부에서 오른편 상단부의 도원에 이르는 사선(斜線) 구도로 전개된 안평대군의 꿈을 재현한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기문에 적힌서사적 요소인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일행과 함께 노닌 이야기는 그림 속에 전혀나타나지 않는다. 당대에 그림을 감상한 안평대군의 측근 집현전 학사들도 이 작품을 ‘도원의 꿈’ 혹은 ‘꿈꾸던 도원’이라는 장소성을 중심 제재로 그린 ‘몽도원도(夢桃源圖)’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이 그림이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를 풀어낸 그림이 아니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안견의 그림이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인 「몽유도원기」에 의거한 것이 아니라면, 안견은 무엇을 근거로 이와 같은 시각이미지를 창출하였을까? 이 점에 대한새로운 이해는 〈몽유도원도〉가 지닌 수수께끼 같은 시각적 흥미인, 전통적으로 횡권을 감상하는 방향과 상반되게 그림이 전개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까? 이러한 전개방식은 이 작품의 기능에 대해 어떠한 실마리를 제공할까? 이 논문은 〈몽유도원도〉가 지닌 전례 없는 형식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이 작품이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즉 꿈의 내용을 종결한 그림이라는 기존 논의에서 더 나아가고자 한다. 이 그림은 오히려 그림이 완성된 이후 당대의 감상자들을 통해, 그리고 안평대군 자신을 통해 더욱 복합적이고 풍부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그림에 대한 다양한 반응들은 이 작품이 상서로운 산수로 읽혔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수용(受容)의 측면에 주목하면서 그림에 보이는 시각적 요소들에 대한 섬세한 읽기를 통해 〈몽유도원도〉가 어떠한 내러티브를 지닌 작품인지를 고찰한다.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drawn by a distinguished painter An G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s renowned for having depicted the story of Prince Anpyeong’s dream on the twentieth night of the fourth month in 1447. The account of his dream, “Record of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is comprehensively detailed next to the painting. However his scholar friend Bak Paengnyeong and the writers who have respectively written the painting’s preface and poetry/prose have designated a differentiated title called Dream of the Peach Blossom Land. The reason stems from the idea that the drawing does not delineate the account of the dream. Plainly stating, Prince Anpyeong elaborated on his dream journey only after An Gyeon completed the painting. The rationale behind the unconventional unfolding of the painting from left to right is that the painting has symbolically portrayed the land located northwest of Mt. Baegak. This coincides with the story in which Prince Anpyeong spots a peach blossom land situated on the ‘north valley.’ He wrote that in 1450, three years after his dream, he had fortuitously discovered a place that was similar to that which appeared in his dream. Within his written record, it states that the place was called Mugye Jeongsa, built on the side of the mountain, northwest from its peak. The painting of An Gyeon insinuates a depiction closer to the actual scenary of Mugye Jeongsa than the dream of Prince Anpyeong. The annals of Joseon history reports the reign of King Sejong as the time period in which most Fung Su (geomancy) related articles were researched. Since Fung Su is concerned with the telling of people’s fortune by read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the pivotal element of Fung Su could be said to be the vigor of land. As a schemer of Prince Anpyeong, Yi Hyeonno was a proficient expert in geomantic studies, also known as Bi Bo - Fung Su. At the time, Yi Hyeonno apprised the family members of the court of the consequences resulting from the failure of building a palace at the northwest of Mt. Baegak. He cautioned that the second son might take the king’s position instead of the eldest. Thus the construction of Mugye Jeongsa at the northwest of Mt. Baegak and Prince Anpyeong’s new pen name as the master of landscape suggest his use of Bi Bo - Fung Su. As a concluding analysis after a meticulous examination of the painting, it looks rather flat and stiff. It also includes mixtures of different views and perspectives such as the bird’s eyes view, connoting a sense of artificiality and dramatic composition. It is also noted for its depiction of the peach blossom land that gives an impression of desolation. I believe that many of these visual features and sentiments are due to or in relation with the drawing’s function as an auspicious-omen paint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