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초등교사 인식에 근거한 교육공동체 개념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박한숙 ( Han Sook Park ) , 이상수 ( Sang Soo Lee ) , 김대현 ( Dae Hyun Kim ) ,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 이유나 ( Yu Na Lee ) , 송연주 ( Yeon Joo Song ) , 권다남 ( Da Nam Kwon )
초등교육연구 28권 4호 171-192(22pages)
UCI I410-ECN-0102-2016-370-00016315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하여,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 요인을 이론적 연구와 통계적 방법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들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기존 선행연구에서 핵심적으로 거론되는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요인을 중심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초등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411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 개념으로 4개의 구성 요인들이 규명되었다. 4개의 요인들은 ‘관계적 돌봄’, ‘민주적 참여’, ‘공유된 비전’, ‘연대적 협력’으로서, 초등교사들은 이론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여러 가지 교육공동체 개념 가운데 이 4개의 개념 요인들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또 다수가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초등교사들은 학교 내에서 진정한 교육공동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계적 돌봄’이 바탕이 되어 ‘민주적 참여’나 ‘공유된 비전’,‘연대적 협력’ 등이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In doing so, this study provided a bette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45 items for testing drawn by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with 411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Kyung-Sang providence. Item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consists of 4 facto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at is relational care, democratic participation, shared vision, and solidarity-based cooperation. The four factors are interpreted that,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relational care provides a basis to vitalize democratic participation, shared vision, and solidarity-based cooperation. Based on the review,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결과 분석
V. 결론: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한 교육공동체 개념 요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