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무역 및 금융시장 통합이 국가 간 경기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2004년 이후 10년간 자료를 살펴본 결과, 14개 동아시아 국가 간 경기변동 동조성이 2008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2011년까지 증가하였고 또한 무역시장 통합과 주식 및 채권시장 통합은 최근 10년간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 분석 결과, 첫째, 동아시아 9개 국가의 경우 국가 간 무역시장 통합 지표가 국가 간 경기변동 동조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늘어난 무역거래로 인해 국가 간 경기변동성 동조성이 강화된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두 번째, 주식시장 통합은 국가 간 경기변동 동조성을 약화시키고, 채권시장 통합은 국가 간 경기변동 동조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거래는 소비위험분산을 통한 산업구조의 이질화나 부의효과(wealth effect)를 일으켜 경기변동 동조성을 약화시키고, 주로 차익거래목적으로 거래되는 채권거래는 대차대조표 효과를 통해 경기변동 동조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자본시장 통합이 경기변동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이 자본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결과는 자본시장 개방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s the effects of trade and financial market integration on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in East Asia. By examining the data of 14 East Asian countries during 2004~2013, we find that the degree of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in the region had decreased until 2008, but increased from 2008 till 2011. Both trade and financial integration have been intensified for the past ten years. Empirical analysis for 9 East Asian countries shows that trade integr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as shown in previous literature. Effects of financial integration differ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equity market integration weakens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due to wealth effects and industry diversification through consumption risk sharing, while debt market integration strengthens business cycle synchronization through balance sheet effects. These empirical results can provid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on financial market liberalization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