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7
216.73.216.167
close menu
디아스포라적 관점과 다문화시대의 문학교육 -가네시로 가즈키의 『GO』를 대상으로
"Diaspora"concep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at multicultural age
고은정 ( Eun Jeong Go )
UCI I410-ECN-0102-2016-370-00019165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다문화시대에 문학교육의 한 방법을 ``디아스포라(이산)``라는 개념을 활용해 제안해보았다. 현재 한국의 다문화교육이 다수자의 소수자에 대한 시혜나 동정에 머무르는 것이 문제라고 보고, 재일(在日)작가의 소설을 대상으로 독자 스스로를 소수자의 위치에 놓아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의미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문학교육이 다문화시대의 다양성을 잘 담아내고 있는지 반성적으로 고찰해보았다. 근대의 민족문학의 틀 안에 국한된 문학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재일 3세대 작가인 가네시로 가즈키의 소설『GO』는 경계인으로서의 이중 정체성 대문에 혼란스러워하는 인물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이 연구는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온전한 정체성을 가지기 어려운 인물의 내면과 주변 환경을 살펴보며, 국적에 따라 인간과 문학을 분류하려는 시도가 무력함을 보여주고자 했다. 다문화시대의 문학교육은 기존의 근대국가의 테두리와 민족 문학적 사고를 넘어서면서 다양성과 차이를 포용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소설『GO』는 국적과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다문화적 관점을 교육하기에 적절한 교육 텍스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way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Diaspora`` conception at multicultural age. In Korea, many people usually regard the mulicultural education as the dispensation or pity. It could be a serious problem, so this study analyses the novel "GO" which is written by the third-generation korean, born and raised in Japan. Reading this text could offer experience that we can be the minorities which we never imagine before. This article has two parts. First, it explores a theoretical basis of Diaspora and Diaspora literature. Second, it analyses the various character who experience the double identity between Japan and Korea. It provides many presentations of the problems about the nationality or identity. The novel "GO" will be a good textbook for students who never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separation and ident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