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염증성 장질환 진단에 있어서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의 임상적 유용성
The Clinical Utilit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류성호 ( Sung Ho Ryu ) , 천재희 ( Jae Hee Cheon ) , 강원준 ( Won Jun Kang ) , 김진영 ( Jin Young Kim ) , 김보경 ( Bo Kyung Kim ) , 윤진영 ( Jin Young Yoon ) , 정윤숙 ( Yoon Suk Jung ) , 허현미 ( Hyun Mi Heo ) , 이진하 ( Jin Ha Lee ) , 전승민 ( Soung Min Jeon ) , 홍성필 ( Sung Pil Hong )
UCI I410-ECN-0102-2016-510-000201807

목적: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의 정확한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정립된 것이 없다. 이번 연구는 PET-CT를 시행 후 염증성 장질환이 의심되어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던 환자의 예를 중심으로 PET-CT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1월에서 2010년 9월까지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18F-FDG PET-CT를 촬영한 환자 중에서 염증에 의한 18F-FDG 섭취증가가 의심되어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환자들에 대한 각각 임상 양상, PET-CT 검사 소견, 대장내시경 결과, 혈액 검사 등 임상적 자료를 조사하였다. 결과: 14명의 환자의 평균 연령은 33세에서 79세까지 다양하였고, 성별은 남자 6명, 여자 8명이었다. 이중 궤양성 대장염 4명(29%), 베체트 장염 3명(21%), 장결핵이 2명(14%)이었고 크론병을 진단받은 환자는 한 예도 없었다. 이 밖에 대장암, 림프종이 각각 1예였으며 나머지 3예에서는 정상소견이었다. PET-CT에서 염증성 장질환을 의심한 총 14예 중 9예(64.3%)에서만 내시경적으로 염증성 장질환으로 최종 진단되었고, 병변의 범위가 정확히 일치한 비율은 18.1% (2/11)로 더 낮은 비율을 보였다. 결론: PET-CT는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주는 비침습적 수단이나, 이 질환의 초기 진단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효율적인 방법은 아니며 따라서 PET-CT의 임상적 역할에 대해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is a nuclear imaging technique that provides noninvasive, three dimensional, quantitative images. Recently, PET-CT has been shown to be valuable in assessing patients with inflammatory diseases; however, the clinical utility of PET-CT in the evaluation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has not been defined.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utility of PET-CT in the evaluation of IBD. Methods: Between November 2006 and September 2010, clinical,endoscopic, and radiological data on 14 patients (6 males and 8 females: age range, 33-79 years) with suspected IBD were collected. The standard work-up method for a definite diagnosis of IBD included ileocolonoscopy. Results:The 14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groups: ulcerative colitis (n=4, 29%), intestinal Behcet’s disease (n=3, 21%), intestinal tuberculosis (n=2, 14%), malignancy (n=2, 14%), and no abnormal findings with colonoscopy (n=3, 21%). A PET-CT based-diagnosis of IBD correlated with a colonoscopic diagnosis in nine cases (64.3%),but the matching ratio of the distribution of lesions between PET-CT findings and colonoscopic findings was only 18.1% (2/11). Conclusions: The utility of PET-CT in the diagnosis of IBD requires further evaluation. (Intest Res 2011;9:97-104)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